"여론 다양성 위해 지역신문 경영정상화 중요"

양문석 언론연대 정책실장, 지역신문 활성화 토론회에서 주장

등록 2007.05.31 12:01수정 2007.05.31 12:01
0
원고료로 응원
a

토론회 ⓒ 김철관

“중앙(서울)집중 매체구조가 지역신문을 고사하게 하고 있다. 중앙지 시장의 강자 독식구조, 약육강식과 정글의 논리가 지역신문을 철저히 뭉개고 있다. 그것도 모자라 빅3이라는 조중동은 지역 마저도 경품을 살포해 지역여론의 끝자락을 부여잡고 근근히 지역성을 지켜온 지역신문을 말살했다.”

지난 30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18층 외신클럽에서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 시행 3년, 토론회에서 ‘지역신문지원특별법 일반법으로 가기 위한 조건’을 발제한 양문석 언론개혁시민연대 정책실장의 주장이다.

그는 “서울의 독식구조를 모기 다리만큼이라도 완화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법이 지역신문특별법”이라며 “6년의 기한 중 3년이 지난 시점에서 특별법으로 끝날 것인지 일반법으로 남을 것인지 여러 요인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양 실장은 ▲한국사회가 서울의 독식구조를 일방적으로 용인할지 여부 ▲지역의 지역성에 대한 자각의 정도 ▲지역신문의 지원정도 ▲지역신문의 자기혁신 정도 등에 따라 일반법으로 남게 될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흡하지만 진행형인 특별법이 ▲개념조차 모호했던 초창기의 상황보다 기본적 체제정비 및 개선이 3번째를 맞이하면서 진전이 있었다는 점 ▲사이비적 행태에 스스로 정화정풍 기운이 일었다는 점 ▲지자체와 음성적 유착에서 보완적 협조관계로 설정돼 가고 있다는 점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는데 기여했다는 점 ▲기자교육자체가 거의 없던 이전과는 눈에 띄게 변화했다는 점 등을 성과로 들었다.

그는 지역신문 구독료지원과 관련해 “지금은 직접지원을 해도 밑 빠진 독에 불과하다”며 “최소한의 경영안정을 위해서 직접지원 액수를 일정하게 증가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a

토론회 ⓒ 김철관

양 실장은 “중앙지에 집중돼 있는 정부광고 및 공공기관 광고를 70% 이상 지역신문 선정사가 배당받아야 한국 지역언론이 활로가 보일 것”이라며 “지역신문 경영 안정을 위해 공익광고를 법으로 강제하는 방법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 시각이 아닌 지역의 눈으로 지역신문을 살려야 한다”며 “일반법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논리와 합리적인 방법으로 지역신문의 살길을 모색하고 싸워야한다”고 강조했다.

최경진 대구 카돌릭대 언론광고학부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서는 김창룡 인제대 언론정치학부 교수, 배성로 지역신문협회 공동대표,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이주현 경기민언련 사무처장, 김성완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전문위원 등이 토론자로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지역신문 #지역신문지원특별법 #양문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와 미디어에 관심이 많다. 현재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상임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3. 3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4. 4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5. 5 "청산가리 6200배 독극물""한화진 환경부장관은 확신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