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속을 거닐면서 느끼고 생각하는 것은 삶의 질을 향상시켜노태영
실제로 방학 중에 실시하는 보충수업은 예체능이나 비입시과목은 제외되고, 국·영·수 과목에 사회와 과학 과목만 하니까 학생들의 학습 부담은 더 커진다. 선생님도 마찬가지다. 평상시보다 더 많은 수업을 해야 한다. 방학 동안 자기 연수와 자기계발은 보충수업이라는 괴물 앞에서 '끽' 소리도 내지 못한다. 심지어는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1정 연수도 눈치를 봐야 하고 기회를 엿보아야 한다.
물론 학습이 부진한 학생에게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중요하다. 특히, 학교에서 내가 가르친 학생이 부진학생이라면 더욱 그렇다. 다른 나라의 서머스쿨(하기강좌)처럼 학습 부진아에 대한 대책이 분명 있어야 한다. 정규수업과정에서 부진하여 더 많은 학습이 필요한 학생에게 기회를 주는 제도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그러나 현재 일선 학교에서 실시하는 방학 중 보충수업은 학생들의 학습능력이나 학업수준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싫든 좋든 해야 하는 수업일 뿐이다. 학생들이 원하는 수준에서 원하는 만큼의 수업을 할 수 있어야 학습효과가 높게 나타날 수 있는데 지금의 보충수업은 전혀 그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학생들에게도 방학 중 보충수업은 부담으로 다가온다. 수업부담뿐만 아니라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기회를 빼앗기는 것이다. 한 학기 동안 배운 것을 정리하고 2학기를 준비하는 시간으로 방학을 활용해야 하는데 그렇게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게다가 일률적으로 시행되는 보충수업은 학생들 각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그리고 교사에게도 보충수업은 득보다는 실이 많다. 자기발전과 충전의 기회로 방학을 활용해야 하는데 20여일이 넘는 보충수업은 거의 모든 연수(re-training)나 전문성 제고의 기회를 빼앗길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휴식 기회도 잃어버리고 있다. 이 보충수업은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의 담보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1950년대와 80년대에 중국에서 대대적으로 실시되었던 하방운동(下方運動)이 현재의 중국 경제 발전의 토대가 되고 있다고 주장되고 있는 것을 보면 우리 학생들과 교사들에게도 이와 같은 삶의 체험이나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의 경험이 매우 필요하다.
여름방학은 단조롭고 획일적인 생활에서 벗어나 나를 뒤돌아보고, 미래의 나를 꿈꾸어 보는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밤하늘의 별을 보면서 풀밭에 누워 즐기는 삶의 여유는 에어컨 바람 속에서 영어단어 하나, 수학문제 하나 푸는 것보다 삶의 질을 풍요하게 만든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