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시내버스 멈췄다

시민단체, 노조파업 이례적 맹비난

등록 2007.06.22 09:53수정 2007.06.22 10:03
0
원고료로 응원
a

시내버스 운행이 노조의 파업으로 중단된 가운데 시민들이 대전시가 배치한 비상운송버스를 기다리고 있다.(22일 오전 8시) ⓒ 오마이뉴스 심규상

a

ⓒ 오마이뉴스 심규상

22일, 대전시민의 발인 시내버스가 멈췄다.

사측은 전날 오후부터 이날 오후 3시까지 노조와 막판(3차) 협상을 벌였으나 결렬됐다. 사측은 당초 안보다 0.5% 많은 3.0%의 임금인상안을 제시했으나 노조측은 5.8% 임금인상안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이날 새벽 4시부터 대전지역 13개 업체가 소유한 모든 시내버스(898대)의 운행이 전면 중단됐다. 대전시는 시내버스 전체 노선(93개) 가운데 73개 노선에 비상수송차량 504대(관용버스 23, 전세버스 210, 25인승 승합차 271)를 투입했으나 시민불편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이날 오전 8시경 중구 선화동 한 버스 정류장에서 만난 한 시민은 "버스노조 파업에 대비해 평소보다 일찍 나왔지만 30분째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발을 동동 구르다 급히 택시에 합승하는 모습도 종종 눈에 띄었다.

또 다른 시민은 "택시 잡기도 어려워 포기하고 마냥 30여분째 기다리고 서 있다"며 "비까지 쏟아져 최악의 출근 길"이라고 푸념했다.

시민단체 "시민의 발을 볼모로 한 파업" 비난

특이한 점은 시민단체마저 이례적으로 노조측을 '시민의 발을 볼모로'라는 극한 표현까지 동원해 맹비난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전참여자치연대와 대전환경운동연합 등 대전지역 1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경전철반대BRT전면도입시민대책위원회'는 전날 성명을 통해 "시민의 발을 볼모로 한 시내버스 노조의 파업 자제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시내버스 노조의 파업은 가뜩이나 어려운 시민들에게 엄청난 부담을 전가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덧붙였다.

a

21일 대전역에서 대전시내버스노조가 임투승리 결의대회를 갖고 있다. ⓒ 김문창

'경전철반대BRT전면도입시민대책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이 같은 성명을 내게 된 배경에 대해 "시내버스 준공영제 이후 대전시의 재정지원으로 노동자의 처우개선과 경영개선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황"이라며 "이번 파업은 명분이 없고 자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시 관계자도 "대전지역의 경우 평균 7년 근속자가 월 24일 근무를 기준으로 수당 등을 합쳐 320만원을 받고 있다"며 "이는 서울 330만원, 부산 318만원, 대구 330만원, 광주 294만원에 비해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250억원의 시민세금을 버스 재정에 지원하고 있는 실정에서 큰 폭의 임금 인상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덧붙였다.

노조측 "시민단체마저 사용자 편드나...유감"

반면 노조측은 "준공영제가 무슨 도깨비 방망이고 파업을 하면 안된다는 생각에 분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시민단체의 성명에 대해서도 "시민단체마저 노동자 편에 서지 않고 사용자 편의 논리를 앵무새처럼 되뇌고 있는 데 대해 유감스럽고 불쾌하다"고 반발했다.

하지만 사측과 노조측은 파업과는 무관하게 추가협상을 통해 의견을 조율한다는 방침이어서 그 결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한편 대전시는 노조파업에 따라 비상수송차량 외에 하루 250차례 운행되는 도시철도 1호선도 290차례로 증편되고 퇴근시간 운행간격도 현재 8분에서 5분으로 조정됐다. 또 개인택시 및 법인택시 부제를 해제해 하루 6468대에서 8877대로 증차하고 공공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승용차 요일제 운행을 전면 해제했다.
#대전 시내버스 #운행중지 #파업 #협상결렬 #대전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파묘' 최민식 말이 현실로... 백두대간이 위험하다
  2. 2 도시락 가게 사장인데요, 스스로 이건 칭찬합니다
  3. 3 제주가 다 비싼 건 아니에요... 가심비 동네 맛집 8곳
  4. 4 1심 "김성태는 CEO, 신빙성 인정된다"... 이화영 '대북송금' 유죄
  5. 5 '내'가 먹는 음식이 '우리'를 죽이는 기막힌 현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