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렬된 노사협상, 파업으로 가나

대전지역 시내버스 노조 22일 전면파업 선언

등록 2007.06.20 09:33수정 2007.06.20 12:39
0
원고료로 응원
a

2005년 7월 대전시청 남문광장에서 시내버스 준공영제 출범식을 하고 곧 바로 시행에 들어갔다. ⓒ 오마이뉴스 자료사진

대전지역 버스노동조합이 오는 22일, 전면파업에 들어가기로 한 가운데 사측인 대전시내버스 운송사업조합과의 임금협상에 대한 제2차 협상이 결렬됐다.

충남노동위원회는 19일 오후 2시부터 20일 새벽 0시까지 10시간 가까이 노사양측간 마라톤 조정회의를 가졌으나 양측의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노동위원회는 이날 임금협상과 관련 4.9% 조정안을 제시했으나 노조측에서 이를 거부한 상태다.

양 측의 주요 쟁점은 임금인상 폭이다. 노조측은 현재 시급제로 지급하는 기사 인건비를 시간당 5794원에서 10.4% 인상한 6397원으로 인상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 측은 조정회의를 통해 7%로 폭을 낮췄고, 다시 타 지역의 올해 인상률 5.8%를 최종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했다. 이에 반해 대전시는 평균 2.5%의 인상안을 제시하고 있다.

버스노조 "최소 타 도시 평균인상 폭(5.8%)은 돼야"

노조 측은 이와 함께 월 4만원의 무사고 수당을 2만원 인상하고 승무수당 3만5000원과 월 23일 근무시 지급되는 임금 보전액을 월 22일만 근무해도 지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밖에 58세 정년 60세 연장, 근속수당·휴가비 인상, 계약직 200여명 정규직 전환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전시는 "250억원의 시민세금을 버스 재정에 지원하고 있는 실정에서 노조측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현재 임금 수준도 준공영제를 하고 있는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수준이 아니다"고 반박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지역의 경우 평균 7년 근속자가 월 24일 근무를 기준으로 수당 등을 합쳐 320만원을 받고 있다"며 "이는 같은 기준으로 서울 330만원, 부산 318만원, 대구 330, 광주 294만원으로 근로여건과 물가수준, 도로여건 등을 감안할 때 대전지역 임금이 결코 낮지 않다"고 말했다.

대전시 " 타 도시에 비해 낮은 금액 아니다"

반면 노조측은 "다른 지역의 경우 퇴직금 누진제가 적용돼 임금인상 효과가 큰 반면 대전의 경우 퇴직금 누진세가 없어 타 지역에 비해 임금인상 효과가 낮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 측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예정대로 파업을 강행한다는 입장이다. 대전시도 남은 기간동안 접촉을 가질 예정이나 합의가 되지 않을 경우 노조 파업에 대비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대전시 지역버스 노동조합은 지난 15일, 파업 찬반투표를 벌여 협상 결렬시 22일부터 파업에 들어가기로 결의했다. 이어 노동위원회 조정을 신청해 지난 18일 제1차 조정회의를 했지만 결렬됐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3. 3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4. 4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5. 5 "청산가리 6200배 독극물""한화진 환경부장관은 확신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