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우외환 삼성전자, 정전사고 악재까지

기흥공장 생산라인 멈춰... 생산품 폐기로 막대한 피해 입을 수도

등록 2007.08.03 19:29수정 2007.08.03 19:44
0
원고료로 응원
a

서울 태평로 삼성본관 앞에 내걸린 삼성 깃발. ⓒ 오마이뉴스 남소연

3일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 라인이 멈춰섰다. 삼성전자는 이날 오후 2시 30분께 경기도 기흥 반도체 공장에서 정전이 발생했으며, 일부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됐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날 오후 변전소 배전반 이상으로 정전이 발생했다"면서 "따라서 K2 지역 생산라인에 전력 공급이 끊겨 생산이 중단됐다"고 말했다.

K2 지역은 기흥 공장의 핵심 지역이다. 이 곳에서 삼성전자 주력 제품인 낸드플레시 메모리가 생산되며, 모두 5개의 생산 라인이 있다. 이밖에 시스템 LSI를 생산하는 S라인도 이 곳에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실적 악화에 따른 인력 감축, 사업구조 개편 등 구조조정의 회오리에 말려 있다. 특히 반도체 부문의 경우 황창규 사장이 메모리사업부장 자리를 내놓는 등 인사 개편 와중에 정전 사고에 따른 막대한 손실까지 겹치게 됐다.

화재인가, 단순 정전사고인가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공장의 이번 정전사고를 두고 한 때 생산라인 화재설이 나돌았다. 오후 2시 40분께 공장 인근에서 화재로 보이는 연기가 보였기 때문이다. 물론 인근 용인 소방서에서도 소방차량 등이 긴급 출동했다.

용인 소방서 관계자는 "기흥공장에서 연기가 발생했다는 연락이 들어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차량들이 나갔다"면서 "삼성전자 쪽에서 배전관 쪽에서 불꽃이 일어나 연기가 났다고 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쪽은 화재설을 부인했다. 단순 정전사고였다는 것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변전소 배전반 쪽에서 스파크가 발생해 일시적으로 연기가 발생한 것으로 안다"면서 "생산라인에서 화재가 났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정전에 대비해 응급 전원공급장치가 곧바로 가동됐다"면서 "가스 공급 장치 등 반도체 라인의 안전과 핵심시설은 현재 정상으로 가동되고 있다"고 말했다.

핵심 생산시설 가동 중단...생산 제품도 폐기해야 할듯

a

실적 악화와 인력 구조조정, 사업구조 개편 등으로 어수선한 삼성전자에 공장가동 중단이라는 악재까지 겹쳤다. 사진은 지난 2004년 수원 삼성전자 공장에서 열린 세계유수기업제품 비교전시회 모습. 이건희 삼성그룹회장이 참석해 설명을 듣고 있다. ⓒ 김종철

문제는 이번에 가동이 중단된 곳은 삼성 반도체의 핵심 생산라인이라는 점. 게다가 반도체 라인의 특성상 이번 사고로 상당 제품이 폐기될 처지에 놓여 삼성전자는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증권가 일부에선 메모리 생산 경쟁업체인 하이닉스반도체가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업계 한 관계자는 "반도체 생산라인은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이 때문에 1년 365일 쉬지 않고 공장을 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선 일시적이라도 라인이 멈춰섰을 때 만들어진 물량은 모두 불량처리될 것"이라며 "이후 정상가동하고 라인을 최적화하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는 만큼 회사 쪽 피해도 막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A 증권의 한 반도체담당 애널리스트는 "이번에 가동이 중단된 곳에서 삼성전자 낸드플레시 90% 가량이 생산된다"면서 "1시간 정도 라인이 섰다고 하더라도 (라인에 있던) 대부분의 제품을 폐기해야하며, 금액으로 따지면 상당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정확한 금액은 산정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실적 악화와 인력 구조조정, 사업구조 개편 등으로 어수선한 삼성전자가 '정전사고로 인한 공장가동 중단'이라는 사태를 어떻게 극복할 지 관심거리다.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정전사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공황의 원인은 대중들이 경제를 너무 몰랐기 때문이다"(故 찰스 킨들버거 MIT경제학교수) 주로 경제 이야기를 다룹니다. 항상 배우고, 듣고, 생각하겠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3. 3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4. 4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5. 5 "청산가리 6200배 독극물""한화진 환경부장관은 확신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