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 먹고 잠시 여유... 조각물 보면서 휴식을 달래다

[사진] 세종문화회관 뒤 공원에서 조각 작품을 살펴보면서

등록 2008.08.04 19:14수정 2008.08.05 11:14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이일호 작가의 "로뎅 이후의 키스" 작품 ⓒ 박하용

이일호 작가의 "로뎅 이후의 키스" 작품 ⓒ 박하용

a

이일호 작가의 "로뎅 이후의 키스" 작품 ⓒ 박하용

이일호 작가의 "로뎅 이후의 키스" 작품 ⓒ 박하용

 

무더위가 한창 기승을 부릴 때 점심 먹고 잠시 여유를 즐겼다. 시원한 수박 주스를 들고서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뒤 공원을 찾아가 보았다.

 

세종문화회관 뒤 공원에 도착을 하여 보니 더운 날씨인데도 많은 사람이 점심 때를 즐기고 있다. 잠시의 여유가 하루의 성과를 좌우한다고 한다. 휴식을 중간 중간 하는 것도 업무에 효율이 좋다.

 

공원에는 사람을 주제로 한 조각 작품이 설치돼 있다. 석재로, 스틸로,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 것 같다. 나무에는 이곳을 찾아오는 사람에게 볼거리 제공을 위하여 나비를 만들어 전시를 해 한결 더 좋은 것 같다.

 

a

오상욱 작가의 "걷는 사람들" 작품 ⓒ 박하용

오상욱 작가의 "걷는 사람들" 작품 ⓒ 박하용

a

정국택 작가의 "Blue Sky" 작품 ⓒ 박하용

정국택 작가의 "Blue Sky" 작품 ⓒ 박하용

 

이곳에 설치된 조각 작품을 둘러보았다. 오상욱 작가의 <걷는 사람들>을 브론즈로 만들어 놓았으며, 남녀의 사랑을 상징하는 이일호 작가의 <로뎅 이후의 키스> 작품을 보니 입을 크게 벌리고 키스하는 모습을 자세하게 볼 수 있다.

 

사람의 욕망은 한이 없는 것 같다. 계단을 돌아가면서 욕망을 키우는 모습도 보인다. 권치규 작가의 <Life-욕망> 작품이다. 이 작품은 철에 도장으로 마감하였다.

 

a

권치규 작가의 "Life-욕망" 작품 ⓒ 박하용

권치규 작가의 "Life-욕망" 작품 ⓒ 박하용

a

권치규 작가의 "전환의 역사" 작품 ⓒ 박하용

권치규 작가의 "전환의 역사" 작품 ⓒ 박하용

 

남녀가 서로 마주 보면서 행복한 모습을 보여주는 한진섭 작가의 <행복하여라> 작품을 오석으로 만들어 툭팍하면서도 정이 가게 만들어져 있다. 사람이 변화하는 모습을 브론즈 제품으로 표현한 권치규 작가의 <전환의 역사> 작품도 감상할 수 있었다.

 

조각 작품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꽃도 만날 수 있다. 붉게 피어 있는 장미도 보았고, 분홍색 빛을 띠고 노루오줌과 연자줏빛의 아름다움을 뽐내는 벌개미취도 피어 있다.

 

a

한진섭 작가의 "행복하여라" 작품 ⓒ 박하용

한진섭 작가의 "행복하여라" 작품 ⓒ 박하용

a

붉게 핀 장미 꽃 ⓒ 박하용

붉게 핀 장미 꽃 ⓒ 박하용

 

점심 때에 잠시 여유를 갖고 낭만을 즐기는 것도 좋다. 머리에, 피곤한 업무에서 벗어나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는 것이 얼마나 좋은지 모르겠다. 더운 여름 시원한 그늘서 조각 작품을 바라보고 아름다운 꽃을 보면 일거양득으로 좋다.

 

a

연자줏빛으로 핀 벌개미취 꽃 ⓒ 박하용

연자줏빛으로 핀 벌개미취 꽃 ⓒ 박하용

a

분홍빛의 노루오줌 꽃 ⓒ 박하용

분홍빛의 노루오줌 꽃 ⓒ 박하용

덧붙이는 글 | 세종문화회관 조각 작품 관람은 7월 17일 다녀왔답니다.

2008.08.04 19:14 ⓒ 2008 OhmyNews
덧붙이는 글 세종문화회관 조각 작품 관람은 7월 17일 다녀왔답니다.
#세종문화회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2. 2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3. 3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4. 4 신장식 "신성한 검찰 가족... 검찰이 김 여사 인권 침해하고 있다"
  5. 5 디올백 무혐의, 어느 권익위 고위 공직자의 가상 독백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