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를 '닭둘기'로 키우는 광주천변가

등록 2009.11.01 09:30수정 2009.11.01 09:30
0
원고료로 응원
 

"닭둘기"

 

도시에 서식하는 잘 날아가지도 않고, 살이 통통하게 올라온 비만비둘기를 일컫는 말.

닭과 비둘기의 합성어

 

 

평화의 상징으로 불리던 비둘기, 하지만 요즘 수가 급격히 늘면서 도심의 골칫거리가 된 지 오래되었습니다. 먹을 것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나타나고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배설물을 쏟아내는 도시의 무법자라 불리는 비둘기! 

 

도심을 누비며 하루 1만 6천 번 바닥을 쪼아대고, 한 마리당 1년에 1kg이상의 배설물을 쏟아내고 이것도 모자라 곡물가게를 습격하기도 하고, 질병을 일으키기도 하는 비둘기를 환경부는 유해야생동물로 분류해서 마리 수를 줄이기로 했습니다.(2009년 3월)

 

그럼에도 광주천변가는 비둘기를 살찌우며, 번식을 돕고 있는 상황입니다.

 

a

광주천변의 비둘기 떼 광주천변의 하늘 위를 장악한 비둘기 뗴 ⓒ 강은영

▲ 광주천변의 비둘기 떼 광주천변의 하늘 위를 장악한 비둘기 뗴 ⓒ 강은영

 

광주천변을 걷다보면 가로수에 썩은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참을 수 없는 불쾌감도 느끼게 됩니다. 그러면서 주위를 보면 많은 비둘기 떼가 그 음식물 쓰레기를 먹기 위해 가로수곁을 떠나지 않는 것을 목격할 수 있습니다.

 

a

먹이먹는 비둘기 뗴 광주천변 가로수 안의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삼아 비둘기들이 먹고있다 ⓒ 강은영

▲ 먹이먹는 비둘기 뗴 광주천변 가로수 안의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삼아 비둘기들이 먹고있다 ⓒ 강은영

a

먹이먹는 비둘기 뗴 고약한 악취가 나는 음식물 쓰레기를 먹고 있는 비둘기 떼 ⓒ 강은영

▲ 먹이먹는 비둘기 뗴 고약한 악취가 나는 음식물 쓰레기를 먹고 있는 비둘기 떼 ⓒ 강은영

가로수 안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음 목격했을 때는 가로수의 영양분을 주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어느 날 갑자기 비둘기 수가 그 주변에 심상치 않게 늘어가는 것을 보면서 걱정이 앞서게 되었습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비둘기는 광주천변가의 가로수 주변의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삼아 '닭둘기'가 되어가며, 그 수를 늘려가고 있습니다.

2009.11.01 09:30 ⓒ 2009 OhmyNews
#광주천변 #비둘기 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100개의 눈을 가진 모래 속 은둔자', 낙동강서 대거 출몰
  2. 2 국가 수도 옮기고 1300명 이주... 이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3. 3 '삼성-엔비디아 보도'에 속지 마세요... 외신은 다릅니다
  4. 4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5. 5 전화, 지시, 위증, 그리고 진급... 해병 죽음에 엘리트 장군이 한 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