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보전의 날 선언문2005년 발표한 '해양환경보전의 날' 선언문입니다. 당시 여수시장, 시의회 의장. 시민사회단체 대표의 서명은 있는데 사고기업의 서명은 비어있네요.
여수환경운동연합 제공
22일 열린 토론회는 자연 회복뿐 아니라 사회적 회복도 바라는 많은 사람들의 질긴 노력의 결과입니다. 사회를 맡은 김태성 국장(여수 시민협)은 "이 토론회 자체가 열리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는 짧은 말로 길고 복잡한 사정을 표현합니다.
토론회가 시작되자 시민단체는 사고에 무한책임이 있는 기업을 거침없이 공격합니다. 특히, 주제발표를 맡은 조환익 위원은 "사고 기업은 지난 2005년 '해양환경보전의 날'을 선포하는 그 순간까지도 참석을 망설였다"며 현재까지 이어지는 사고기업의 수동적 태도를 지적합니다.
또, "내년 '해양환경보전의 날'은 세계박람회 기간 중 진행되는데 세계 시민들에게 여수 바다가 좋다며 초대해 놓고 한쪽에서 오염을 이야기 하면 방문객들이 엉망인 곳에 초대한 이유가 뭐냐며 핀잔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어서 그는 "선언문에서 약속한 일들을 이행하지 않으면 그동안 쌓아온 모든 일들이 '도루묵'되고 사고가 재발할 수도 있다"며 "그렇게 되면 지역 갈등이 다시 생긴다"고 선언문 내용 이행을 강조했습니다.
이에 사고업체 대표로 나온 정남일 본부장(GS칼텍스)은 "회의만 600번이 넘었다"며 회사가 수동적이지 않았음을 강조합니다. 또 "처음 현장 갔을 때 하얀 파도가 아니라 시커먼 원유 파도가 치고 있었다"며 어려운 상황에서 최선을 다했던 과거를 강조했습니다. 덧붙여 그는 "사고를 통해 회사가 정신 많이 차렸고 어찌 되었든 사고가 발생한 점 죄송하다"는 말도 빼놓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토론을 듣다보니 불현듯 떠오르는 생각이 있습니다.
사고업체가 사고에 대해 무한 책임을 지는 일은 당연합니다. 시민단체가 하는 말도 당연하고 근거가 충분합니다. 그러나 지난 시간을 돌이켜 곱씹어 보면 이제껏 시민단체가 해온 일이 마냥 큰소리 칠 상황도 아닙니다.
시민단체가 사고 후 10년이 지난 2005년 이후 보여준 모습은 썩 칭찬할 만하지 않습니다. 이는 지정토론자로 참석한 김일주 부장(여수YMCA)의 말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해양환경보전의 날' 무관심으로 의미 퇴색, 자업자득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