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에 성공한 안희정 충남지사
심규상
박근혜 대통령의 눈물이 충청권을 적시지 못했다. 충청권 유권자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야당 후보를 찜했다. 대전을 비롯 충남, 세종, 충북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모두 새정치민주연합 후보가 당선됐다.
교육감도 예외는 아니다. 충남과 세종, 충북 교육감선거에서 각각 진보성향의 교육감이 처음으로 당선됐다. 대전교육감 선거에서는 보수성향의 후보가 당선됐다. 하지만 지역교육계에서는 진보성향인 두 후보가 단일화했다면 대전에서도 진보성향 후보의 당선이 무난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초단체장선거에서도 야당이 선전했다. 대전에서는 5개 구청장 중 대덕구를 뺀 4곳에서 새정치연합 후보가 당선됐다. 충남 15개 기초단체장선거에서도 5명의 새정치연합 후보가 당선돼 기초단체장 야당 후보가 천안시장(구본영), 아산시장(복기왕), 계룡시장(최홍묵), 논산시장(황명선)으로 민선 5기에 비해 늘어났다. 천안시장을 차지한 것은 12년만의 일이다. 새누리당은 충북 11개 기초단체장 가운데 6곳(청주시·충주시·단양군·음성군·옥천군·영동군)을 차지, 민선 5기에 비해 3곳을 늘린 데에 만족해야 했다.
특히 과거 박근혜 대통령의 '대전은요'의 최대수혜자였던 박성효 대전시장 후보까지 패배했다. 충남 출신의 이완구 원내대표 기용도 힘을 쓰지 못했다. 이번 선거에서 유독 충청권 주민들은 왜 박 대통령의 눈물을 닦아주지 않은 것일까?
세월호 민심과 정권심판론이 '대전선거 판도' 바꿔우선 충청권 지방선거 과정을 복기해 볼 필요가 있다. 이번 대전시장과 구청장 선거의 최대 쟁점은 '지방정부 심판론'이 아니었다. 시종 '중앙정부 심판론'이 압도했다. 대전지역 여당 후보들은 하나 같이 박 대통령과 연계한 '힘 있는 시장-집권당의 도지사론'을 폈다. 반면 야당후보들은 '무능한 정부'를 표로 심판해 달라고 호소했다. '지방자치 선거에 지방이 없다'는 볼멘소리가 나올 정도였다. 이런 점에서 세월호 민심과 정권심판론이 대전선거 판도를 바꿨다고 볼 수 있다.
서로 다른 용병술도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과거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아래 선진당)의 합당으로 새누리당이 창당됐지만 새누리당 측은 2명의 현역 선진당 출신 구청장을 내쳤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이들은 끌어안아 선수로 기용했다.
세종시장 선거에서는 세월호 민심에 정부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까지 보태진 것으로 보인다. 세종시 원안고수를 주장한 박 대통령을 당선시켰지만 세종시 발전을 위한 움직임은 이명박 정부 때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세종정부종합청사에 근무하는 중앙행정기관 공직자와 가족들이 밀집돼 있는 주거지역에서 야당 후보와 진보 성향 교육감을 선택했다는 점도 눈여겨 볼 일이다. 정부 불신의 정도를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 현역 지사가 있는 충남지사와 충북지사 선거에서는 지방정부 심판론과 도정 발전을 위한 집권당 지사론을 함께 제기했다. 그럼에도 야당후보들이 당선된 것은 인물론이 '박근혜 마케팅'을 압도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진보-보수 아닌 '인물' 보고 교육감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