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전철안내도우미 12월 10일 송내역, 군중 속에 우두커니 서 있는 황기철(가명·75) 할아버지
이호재
불만은 있으나 불평하지 못했다.
"월급 주는 게 너무 적지. 그렇다고 불만 있다 할 수 있나. 그냥 다 좋다고 했어."
칼바람이 닥친 부천역(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플랫폼에서 이헌상(가명·78)씨가 푸념을 늘어놨다. 이씨는 주 3회 하루 2시간 30분씩 광역전철 안내도우미로 일한다.
광역전철 안내도우미를 비롯한 '노인일자리사업'은 노인의 소득을 보충하고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2004년부터 11년간 실시해 왔다. 올해는 2870억 원의 예산을 들여 31만 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 주로 보건복지부의 위탁을 받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사업을 벌이는 식이다. 지자체가 직접 사업을 시행하기도 하고 기관에 재위탁하기도 한다.
2013년, 정부는 노인일자리사업 만족도가 74.1%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종사하는 노인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생각은 많이 달랐다. 이씨도 만족도조사에서 '매우 만족'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봉사'로 전락한 노인일자리사업부천 광역전철 안내도우미는 출퇴근 시간에 맞춰 송내역, 부천역 등 5개 역에서 50명의 노인이 길 안내를 도맡는 '일자리' 사업이다. 그러나 지난 3일 오후 5시, 송내역에서 만난 황기철(가명·75)씨는 이 활동을 일자리가 아니라 봉사라고 생각했다.
"다 해봤자 월 20만 원도 안 돼. 생활비가 될 수 있나. 교통비만 해도 왕복하면 하루에 이천 원이야. 그냥 봉사라고 봐야지."이 일만으로 생계를 꾸리기 힘든 탓인지 다른 일을 병행하는 노인들도 있다. 황씨는 "이거 하는 사람(광역전철안내도우미)도 투잡 뛰는 사람이 있어, 돈 벌려고"라며 동료들을 걱정했다.
부천역에서 일하는 김기춘(가명·81)씨도 근심이 많다. 김씨는 "더 받아야 생활에 도움이 되지, 옛날에 50만 원 받고 일했던 청소 일자리만도 못해"라며 일자리를 바꿀지 고민하고 있었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2012년 발표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노인들이 노후생활에 필요하다고 생각한 금액은 월 80만 원이다. 그러나 지난 11년간 노인일자리사업의 임금은 월 20만 원에서 한 푼도 오르지 않았다. 최저시급이 오를 때마다 근무시간을 줄여 임금을 동결하는 '꼼수'를 썼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후보시절 임금 인상을 약속했으나, 2015년 임금 역시 20만 원이다. 그나마 받는 20만 원도 연중 이어지는 것이 아니다. 대부분의 노인일자리 근로자들은 사업 단절로 실업자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었다.
'실업자'를 만드는 이상한 일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