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 보도, 증언보다 박근혜 컨디션 부각한 <동아><조선>

[민언련] 박근혜 3차 공판 모니터 보고서

등록 2017.05.31 11:01수정 2017.05.31 11:01
0
29일 오전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김세윤 부장판사) 심리로 박근혜씨와 최순실씨의 3차 공판이 열렸습니다.

이날 검찰은 박근혜씨가 신년 기자간담회 때 했던 "(국민연금의 합병 지원은) 국가의 올바른 정책 판단"이라는 발언에 대해 주진형 전 한화투자증권 사장이 특검 조사에서 "한마디로 정신 나간 주장"이라고 진술한 조서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증인으로 출석한 주 전 사장은 국민연금공단의 삼성그룹-제일모직 합병 찬성 결정에 청와대가 직접적으로 개입했다는 증언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또 다른 증인 김성민 전 국민연금공단 전문위원장은 전문위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국민연금공단의 삼성 합병 찬반 논의를 전문위에 상정하지 않았다는 증언을 내놓았습니다.

주요 증인 증언보다 '박근혜 컨디션'에 주목한 <동아><조선>  

이와 관련, 단연 눈에 띄는 보도를 내놓은 것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입니다. 이날 이 두 매체를 제외한 여타 매체들은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주 전 대표(<경향><중앙><한국>)나 김 전 위원장(<한겨레>)의 '증언'을 제목으로 뽑아냈습니다. 반면 <동아일보>의 관련 보도 제목은 <박, 재판 중 꾸벅꾸벅... 20분간 졸아>(5/30 권오혁·김민 기자 https://goo.gl/h71mAB), <조선일보>의 관련 보도 제목은 <심야 재판에... 박 전 대통령 지친 기색>(5/30 최연진·신수지 기자 https://goo.gl/psCRRT)입니다. 모두 박근혜씨의 컨디션에 주목한 것입니다.

기사 내에도 <동아일보>는 "재판이 길어지자 오후 8시부터 20분가량 꾸벅꾸벅 존 뒤 앉은 채로 목 운동을 했다", <조선일보>는 "재판이 오후 늦게까지 이어지자 박 전 대통령은 중간중간 지친 기색으로 피고인석에서 꾸벅 졸기도 했다"며 '재판이 길어져서' '졸았다'는 언급을 끼워 넣었습니다. 두 매체를 제외한 다른 매체는 이를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조선>은 2차 공판 보도에서도 '휴정 요청' 관련 대화 부각    


조선일보 박근혜 2차 공판 기사(좌)와 3차 공판 기사(우) ⓒ 민주언론시민연합


졸았다는 언급에 '지친 기색'이라는 표현을 덧붙인 <조선일보>는 지난 2차 공판 당시에도 <판사 "힘든 게 재판... 요청하면 휴정" 미소 띠며 고개 끄덕인 박 전 대통령>(5/26 최연진·신수지 기자 https://goo.gl/gUXXCu)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놓았는데요. 해당 기사에서 조선일보는 부장판사의 "재판이 원래 힘들고 지겹습니다. 처음이라 더 그럴 것 같은데, 요청하면 재판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휴정하겠습니다"는 발언과 이에 대해 박근혜씨가 "미소 지으며 고개를 끄덕였다"는 사실을 상세히 전했습니다.

<조선일보>가 이렇게 별 의미도 없는 '지친 박근혜 관련 일화'를 부각하는 동안, <경향신문>은 <박근혜 측 "참고인 수백명 다 불러라"... 재판부 "시간 낭비">(5/26 이혜리·박광연 기자 https://goo.gl/h1WYJn)를 통해 박근혜 측이 "검찰이 법원에 제출한 수사기록 대부분을 증거로 사용하는 데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음을 강조했습니다. 재판 관련 보도에서 무엇이 더 중요한 정보인지는 굳이 길게 설명할 필요도 없겠지요.


열혈 지지자 성원, <동아><조선><한국> 보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주목한 것은 박근혜씨의 컨디션만이 아니었습니다. 두 신문은 박근혜씨를 응원한 '지지자'들의 성원을 기사 내에 언급하기도 했는데요. "재판이 끝난 뒤 방청석의 시민 4명이 퇴정하는 박 전 대통령을 향해 '진실이 승리한다는 걸 보여주세요'라고 외쳤다. 박 전 대통령은 이들을 향해 환하게 웃으며 고개를 숙였다"(<동아일보>)거나 "오후 10시 10분쯤 재판이 끝나자 '사랑합니다. 힘내십시오'라고 외치는 방청객 3~4명을 바라보고선 가볍게 인사하고 엷은 미소를 띤 채 퇴정했다"(<조선일보>)고 굳이 설명하는 식입니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이외에 박근혜 지지자들의 성원을 소개한 매체는 <한국일보>입니다. <"박이 삼성 합병 지지한 건 정신 나간 주장... 국제 소송 빌미">(5/30 김현빈·김민정 기자 https://goo.gl/TcCjah)에서 <한국일보>는 기사 말미 "재판이 끝난 뒤 박 전 대통령이 법정을 떠나려 하자 방청석에선 3, 4명의 시민들이 '대통령님 사랑합니다'라고 외쳤고, 박 전 대통령은 이들에게 미소로 화답하는 여유를 보였다"는 내용을 덧붙였습니다.

'이재용 승계' 언급은 <한국일보>만, 김성원 위원장 증언은 <한겨레>만 전달

<한국일보>를 제외한 5개 일간지는 증인들의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 승계 관련 언급을 전달하지 않았습니다. 이를테면 주진형 전 대표는 "특검 조사 과정에서 삼성 합병은 시너지를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욕심 때문에 이뤄진 것으로, 합병 시너지를 운운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말했냐"는 검찰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는데요.

<한국일보>만 이와 관련해 "주 전 대표가 특검 조사 과정에서 '합병은 시너지를 얻기 위한 게 아니라 삼성물산이 가진 삼성전자 지분을 먹고 싶은 이재용 부회장의 욕심 때문에 이뤄진 것'이라고 평가한 사실도 공개됐다"고 전달하고 있을 뿐입니다. 김성민 전 위원장의 "이재용 부회장 일가가 합병을 통해 삼성전자 지분을 확보하려는 건 이미 언론을 통해 다 알고 있는 사실"이라는 증언은 6개 일간지 어디에도 소개되지 않았습니다.

사실 이날 김 전 위원장의 재판에서의 증언("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대한 의결권 행사는 당연히 전문위에서 판단해야"했는데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이 전문위원장의 전문위 개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을 전달한 것은 <한겨레>뿐입니다. 반면 주 전 대표의 "정신 나간 주장" 진술은 <한겨레>를 제외한 모든 매체가 소개했습니다. 언론이 선정적 발언 전달에 집중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는 지점입니다.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17년 5월 30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신문 지면에 한함)
덧붙이는 글 민언련 배나은 활동가입니다
#박근혜 재판 #박근혜 공판 #민언련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3. 3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4. 4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5. 5 "청산가리 6200배 독극물""한화진 환경부장관은 확신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