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최상위권 학생 재입학 편법, 그냥 두는 게 맞습니까

[아이들은 나의 스승] 공교육 붕괴를 부추기는 '의치한약' 선호 현상

등록 2023.03.22 13:23수정 2023.03.22 13:23
10
원고료로 응원
"관련된 세부 규정이 없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문의할 때마다 전가의 보도처럼 뒤따르는 담당자의 답변이다. 대개는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말이지만, 딱히 거짓은 아니다. 다만, 담당자로서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다면 어떻게든 대안을 모색하는 게 당연한데 상부의 지시가 있긴 전엔 좀처럼 움직이지 않는다는 점이 안타깝다.

광주광역시교육청 이야기다. 요 몇 년 사이에 광주광역시 관내 고등학교에서 자퇴생이 속출하고 있다. 특히 광주의 한 고등학교에서는 작년 한꺼번에 10여 명이 동시에 자퇴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학교 부적응으로 자퇴하는 아이들이야 해마다 늘 있던 일이지만, 과거와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학교마다 입학한 지 1년도 안 된 고1의 최상위권 아이들이 선뜻 자퇴를 결행하고 있다.

아이 자퇴 후 재입학시킨 학부모의 충격적인 말

예년 같으면 대개 자퇴는 고등학교 졸업 자격 검정고시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래들보다 일찍 고등학교 과정을 이수하고 서둘러 대입을 준비하려는 의도였다. 어차피 수능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다양한 기출문제를 수십 번 반복해 푸는 것보다 효과적인 방법은 없기 때문이다.

자퇴 후 수도권의 기숙학원에 등록해 정시에 '올인'하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형편이 어려운 집의 아이가 오로지 대입을 위해 자퇴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자퇴라는 선택도 부모의 경제력에 의해 좌우된다. 기숙학원 비용이 웬만한 대학 등록금보다 비싸다는 건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랬던 자퇴의 양상이 갑자기 변하고 있는 건, 내신 성적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수시 모집의 비중이 커진 탓이다. 학생부교과전형은 물론, 학생부종합전형(학종)에서도 성적표에 적힌 등급이 당락을 결정짓는다. 자율활동, 동아리 활동과 같은 비교과 영역은 그저 '양념'일 뿐이다.


"내신 평점 1.5로는 수시를 통한 의치대 진학이 사실상 불가능하거든요. 그래서 아이를 다시 한번 도전시켰던 겁니다. 의치대에 갈 수만 있다면 고등학교 시절의 1~2년쯤이야 아무것도 아니죠. 어차피 졸업 후 재수, 삼수를 할 바에야 지금 공부하는 게 더 낫죠."

작년 고1에 다녔던 자녀를 자퇴시키고 재입학시킨 한 학부모의 말이다. 편입학의 경우라면 기존의 내신 성적이 그대로 반영되지만, 재입학을 선택하면 기존 성적은 말끔히 지워진다. 교실 내 동급생들보다 한 살을 더 먹은 상태로 고1 학교생활을 다시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자퇴한 뒤 다시 복학하려면 원래 다니던 학교로 돌아오는 게 원칙이지만, 주소지의 변경 등 사유를 대면 얼마든지 다른 학교로 옮길 수 있다. 자퇴에서 복학하기까지의 시간이 문제일 뿐, 재입학과 편입학 상관없이 학적 변경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교육청 담당자의 말에 따르면, 이를 제한할 규정도 없는 상태다.

목표는 전 과목 내신 1등급, '미끄러지면 회복 불능'
 
a

수능성적(해당 사진은 기사와 관련이 없습니다) ⓒ 연합뉴스


문제는 이러한 맹점을 대입에 활용하는 학부모와 아이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은 학교를 옮기는 데에 1~2년의 학창 시절을 기꺼이 할애한다. 외견상 자퇴와 복학의 절차를 활용해 평준화 지역의 일반고에 적용되는 근거리 기준 임의 배정 원칙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셈이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중학교 졸업을 앞둔 아이들에게 진학을 희망하는 고등학교를 5지망까지 적도록 하고 있다. 그중의 한 곳으로 배정되는데, 거주지 주변의 학교 수와 등하교 거리와 시간을 고려하면 선택권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학교의 정원 등 현실적 여건을 고려할 때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자퇴한 최상위권 아이들이 복학하기를 바라는 곳은 대입 실적에 애면글면하지 않고 교육과정을 '원칙적으로' 운영하는 국공립 학교나 성적이 전반적으로 낮다고 평가받는 변두리 학교다. 말하자면, 상대적으로 최상위권 진입이 쉬운 곳들이다. 그들의 목표는 전 과목 내신 성적 1등급이다.

그들 말마따나, 내신 성적이 1점대 중반이면 수도권은커녕 지방 사립대의 의치대 진학도 불가능하다. '의치대는 1.1, 한의대와 약대는 1.3이 마지노선'이라는 게 아이들 사이에서의 불문율이다. 수시 전형을 통해 '의치한약'에 진학하려면 학교의 모든 시험을 수능처럼 임해야 한다. 그들은 단 한 번이라도 미끄러지면 회복 불가능하다고 선선히 말한다.

정시 전형, 곧 수능으로 진학하는 건 훨씬 더 어렵다. '의치한약'을 희망하는 아이들은 나날이 느는데 대학의 정원이 한정되어 있어 극심한 병목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서다. 심지어 '정시는 기본이 5수'라는 우스갯소리마저 있다. 그러다 보니, 그들은 '의치한약' 합격증을 '절대 반지'로 여긴다.

결국 확률상 수시 전형이 유리하다고 판단해 과감히 학교를 그만두는 것이다. 그들에겐 고등학교에서의 첫 학기, 첫 시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만약 2점대 언저리면 진로를 바꿔 'SKY'로 목표를 삼지만, 1점대 중반인 경우라면 누구든 욕심을 부리게 된다. 그들에겐 1점대 중반은 '어중간한' 등급이다.

학교 교육의 근간이 뒤흔들린다
 

학창 시절을 '판돈'처럼 내건 그들의 '도박'을 제어할 힘이 학교엔 없다. 교육청조차 관련 규정이 없다며 손 놓은 상황에서 학교가 할 수 있는 일이란 그들에게 자퇴와 복학 절차를 안내하는 것뿐이다. 교육과정 운운하며 어쭙잖게 설득하려 했다간 세상 물정 모른다고 핀잔만 듣게 될 것이다.

물론, 1년을 투자해 후배들과 경쟁한다 해도 내신 성적 1등급을 받는다는 보장은 없다. 성적이 기대만큼 나오지 않으면, 심지어 다시 자퇴한 뒤 다른 학교로 복학해 고1 생활을 반복하는 사례도 있다. 요즘엔 오로지 내신 등급을 위해 서울에서 '만만한' 지방의 학교로 전학하는 경우마저 있다.

이런 '기회비용'을 해소하기 위해 인근 지역의 최상위권 학부모들끼리 '사전 조정 작업'을 벌인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도 있다. 중학교 3학년 때 한 학교에 대거 몰리지 않도록 희망 학교를 분산 지망하게 한다는 것이다. 최상위권이 많으면 그만큼 1등급 따기가 힘들어서다. 중학교 성적을 반영한다 해도 아예 지망하지 않은 학교에 배정할 수는 없다.

어떻게든 자녀를 의치대에 보내고야 말겠다는 부모의 욕망이 학교 교육의 근간을 뒤흔드는 형국이다. 자녀는 부모의 욕망을 욕망한다고 했던가. 최상위권 아이들의 꿈은 마치 입이라도 맞춘 듯 하나같이 의사 아니면 약사다. '의치한약'을 향한 자퇴와 복학의 쳇바퀴엔 소중한 친구도 없고, 학교생활의 추억도 없다.

관련 규정이 없다며 손 놓고 있는 교육청에 요구한다. 학교마다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자퇴와 복학의 행렬을 멈추도록 실효성 있는 대책을 서둘러 마련하라. 일부 최상위권 학부모들의 유난스러운 치맛바람이라며 마치 남 이야기하듯 눙치는 건 교육청의 명백한 직무 유기다.

모름지기 학교는 더불어 사는 시민을 길러내는 사회화 기관이다. 내신 1등급과 나머지 아이들이 소 닭 보듯 하고 물과 기름처럼 갈리는 곳이라면 더는 학교라고 할 수 없다. 오로지 내신 1등급을 목표로 쇼핑하듯 이 학교 저 학교 옮겨 다니는 아이들을 방치하는 건, 그러잖아도 불신받는 공교육의 존재 이유를 스스로 부정하는 일이다.
#의치한약 #학생부 교과전형 #학생부 종합전형 #자퇴
댓글10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잠시 미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내 꿈은 두 발로 세계일주를 하는 것이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찰 급했나...'휴대폰 통째 저장', 엉터리 보도자료 배포
  2. 2 재판부 질문에 당황한 군인...해병대 수사외압 사건의 퍼즐
  3. 3 [단독] 윤석열 장모 "100억 잔고증명 위조, 또 있다" 법정 증언
  4. 4 "명품백 가짜" "파 뿌리 875원" 이수정님 왜 이러세요
  5. 5 여론조사로 본 4.10 총선 판세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