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석탄발전 투자중단 캠페인
그린피스
후쿠시마 사고는 적어도 나에게는 일어나서는 안 될 최악의 핵발전소 사고이자, 2011년 3월 11일에 벌어진 과거의 사건이었다. 그러나 최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가 대두되면서 후쿠시마는 과거만이 아닌 지금까지 지속해서 일어나는 현재진행형의 사고로 바뀌었다.
일본 정부의 오염수 해양 방출 계획과 이에 대해 수수방관하는 대한민국 정부 사이에서 고군분투하는 많은 사람 중 그린피스의 장마리 캠페이너가 있다. 신문과 방송, 라디오와 팟캐스트에서 그를 쉽게 만날 수 있지만, 특정 사건이나 이슈에 대한 설명 너머 장마리 캠페이너와 그가 해왔던 활동들이 궁금해졌다. 지난 4월 6일 그린피스 서울사무소에서 그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 현재 일하고 있는 기후에너지 팀을 소개해달라.
"기후에너지 팀에서 진행하는 캠페인은 기후참정권, 내연기관차 반대,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확대, 후쿠시마와 국내 원전 캠페인으로 총 4가지예요. 정책 제안을 위한 정책 자문위원과 금융 자문위원들도 함께 일합니다. 이외에도 그린피스에서는 생물다양성 캠페인, 플라스틱과 해양 캠페인 등 여러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어요. 시민참여팀은 일반 시민들이 지역 중심으로 혹은 활동 중심으로 그린피스 캠페인을 더 가깝게 만나는 일들을 하고 있어요."
장마리 캠페이너는 그린피스 입사 6년 차에 접어들었다. 처음부터 기후에너지 팀에 배치되어 한국 정부의 세금으로 해외에 석탄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을 반대하는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그는 그린피스에 들어오기 전부터 '원전 캠페인'에 관심이 많았다고 했다.
"원전 캠페인을 하고 싶어서 그린피스에 입사했어요. 당시 제가 들어왔을 때가 2018년도 2월이니까, 신고리 5, 6호기 건설 허가 취소소송의 1심이 진행 중이었었어요. 제가 맡았던 해외 석탄 캠페인과 함께 신고리 5, 6호기 취소소송을 3심까지 진행했어요. 해외 석탄 캠페인, 후쿠시마 캠페인과 함께 국내 원전 이슈에 대해 계속 관심이 있었죠."
- 그럼 본격적으로 국내 원전 캠페인을 시작한 것은 언제였나요?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국내 원전 캠페인을 시작했어요. 기후변화를 알리는 중점 캠페인들에 집중하다가 다시 국내 원전 캠페인이 진행된 지 한 2~3년 정도 된 거죠. 그린피스 단체 자체는 반세기 넘게 원전 반대 캠페인을 해왔지만, 제가 국내 원전을 다룬 시간이 그 정도입니다. 첫 번째 주요 프로젝트로 '월성 원전 1호기 사용후핵연료 누설 문제'를 다루기 전에 1년 가까운 시간 동안 국내 원전 이슈를 알리는 데 시행착오를 겪었던 것 같아요. 우리가 내놓는 여러 형태의 콘텐츠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이나, 이슈 메이킹을 하는 것에 대한 언론의 반응... 사실 그때는 원전 캠페인을 국내에서 진행하기에 가장 힘든 시기였다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문재인 정부 말기였고,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비판만이 아니라 원전을 다시 지으라는 요구가 거셌잖아요. 탈원전과 친원전이라는 첨예한 입장 차가 나라 전체를 뒤덮었고요."
장마리의 말처럼 당시 원전 문제는 대통령을 뽑는 하나의 중요한 잣대일 정도로 갈등이자 이슈의 중심에 있었고, 원전의 경제성과 안전성이 압도하는 상황에서 원전의 문제를 알리기에는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마리는 시행착오와 어려움만을 말하지 않았다.
"우리 메시지가 언론을 뚫고 대중에게 전달되는 힘이 가장 약했던 시기이지만, 그것이 아주 무의미하지는 않았다고 생각해요. 그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우리가 올바른 '방향'을 잡게 되었기 때문이죠."
시행착오 끝에 나온 국내 원전 캠페인의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