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란 혼자 또 함께 걷는 길이다.
픽사베이
시민기자가 쓴 '글쓰기란 혼자 또 함께 걷는 길이다'라는 제목을 '나는 한 번도 혼자 쓴 적이 없었다'로 고치면서 내 안의 고정관념이 바사삭 깨지는 걸 느꼈다. 이명도 아닌데 귀 한쪽 어딘가에서 삐~ 빠지직거리는 소리가 들린 것도 같고. 내가 이런 증상을 느낀 데는 그만한 속사정이 있다.
2년 전 여름부터 그 해를 넘기기까지 '혼자 쓰는 법'이란 주제로 스무 편 정도의 글을 혼자 썼다. 혼자 글 쓰는 사람들을 돕기 위한 글이었는데, 그 글을 쓰는 동안 '혼자'라는 프레임에 단단히 갇혀 있었다. 혼자 쓰는 사람들은 어떤 고민을 하지? 혼자 글을 쓰면 어떤 어려움에 처하지? 혼자 쓰기 어려울 때 내가 시도했던 방법은 뭐였지?
아이디어를 모으는데 '혼자'가 빠지면 뭔가 어색했다. '혼자'만 생각하다 나 혼자만 덩그러니 남아버린 기분이었다. 계속 쓰기가 힘들었다.
제목이 기대는 곳
그런데 나처럼 혼자 글을 쓰면서도 이분은 '나는 한 번도 혼자 쓴 적이 없었다'라고 말하는 게 아닌가. 어째서지? 그의 말인즉 이렇다. 글을 쓰는 건 분명 혼자의 일이지만 그 과정에서 홀로인 적은 없었다고.
"홀로 쓰는 당신에게, 내 글에 의심이 들고 포기하고 싶어진다면 글 쓰는 타인을 만나보라고 권하고 싶다. 글쓰기는 혼자 하는 일이 맞지만 글로 향하는 길은 같이 걸을수록 풍성해지는 법. 누군가의 문장이 나를 쓰도록 움직였으니 한 번도 혼자 쓴 적이 없었다."
혼자 쓰는 방에서 나와 글쓰기 모임을 통해 더 풍성해진 삶에 대해 쓴 글이었다. 충분히 수긍이 간다 싶으면서도 '나는 어떤가?' 자문하게 된 것이다. 나는 정말 홀로만 썼을까. 내가 쓴 수많은 글을 정말 나 혼자 썼다고 할 수 있을까. 나 혹은 내 글을 둘러싼 그 무엇에 대해 생각하지 않아도 될까.
'나는 한 번도 혼자 쓴 적이 없었다'는 문장 앞에서 나를 비춰보니 나 역시 한 번도 혼자 쓴 적이 없었다. 내가 쓰는 글들은 대부분 경험한 일을 풀어낸 것이다. 내가 겪은 일을 가만 들여다보면 거기에는 결코 나만 있지 않았다.
한 회사에서 동료들과 오래 편집 일을 해서 쓸 수 있었고(
아직은 좋아서 하는 편집), 누군가의 문장을 읽고 썼고(
쓰라고 보는 책), 제목에 대해 알려달라는 누군가의 말 때문에 또 이런 글을 쓰고 있다(
제목의 이해).
주변 사람들과의 대화 속에서 하고 싶은 이야기가 떠올라 쓰고, 나를 잘 돌보기 위해 썼다. 불안하고, 흔들리는 마음을 붙들기 위해. 누구도 해주지 않는 말을 나에게 해주고 싶어서 쓰고, 독자의 반응에 힘입어 쓰기도 했다.
소진된 마음을 음악과 책으로, 사람과의 만남으로 채우면서 썼다. 비워졌나 싶으면 채워졌고, 채워졌나 싶으면 다시 비워지는 일을 반복하는 동안에도 그렇게 씀으로써 글은 묵묵히 쌓여갔다. 방황하는 시간에도 글은 남아서 나를 지켜줬다. 가장 좋은 친구가 되었다.
돌아보니 이 모두가 나를 둘러싼 관계 속에서 벌어진 일들. 그러니 굳이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오래된 수식어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나도 홀로 쓴 적이 없는 셈이다.
제목도 보면 그렇다. 얼핏 보면 제목 혼자 고개를 빳빳이 들고 서 있는 것 같지만, 알고 보면 그 뒤를 든든하게 받쳐주는 맥락들이 본문에 있다. 고군분투하고 있는 것 같았는데, 알고 보니 나도 글쓴이의 문장에 기대어 제목을 뽑고 있었다.
제목을 뽑은 일은 고민의 구역이 엄격히 제한되어 있다. 그 구역을 자의적으로 넘어서면 탈이 나기도 하니 어떻게든 그 범위 안에서 지지고 볶아야 했다. 훌륭한 배우는 현장을 탓하지 않는다는 말을 어딘가에서 들었는데, 비슷한 차원에서 글 안에서 어떻게든 좋은 제목을,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 나도 애를 쓰는 것이다. 그러니 믿을 것은 글뿐.
뾰족한 한 문장을 짓기 위해 문장과 문장 사이를 단어와 단어 사이를 찾아 헤매고 글쓴이의 문장에 기대어 제목을 뽑는다. 제목 뽑는 일이 아무리 힘들다 한들 그나마 할 만하다고 여기는 것은 내가 기댈 수 있는 문장이 어딘가에는 있다는 믿음 때문이 아닌가 싶다. 무수히 많은 사람 속에서도 '소중한 사람'은 한눈에 알아보는 것처럼, 제목으로 쓸 만한 것이 본문에 반드시 있다는 믿음.
가끔은 그 믿음이 독자를 향할 때도 있다. 의도한 제목 한 문장을 독자가 잘 받아들여 주시겠지라는 믿음으로, 독자를 상상하며 발화하는 제목도 있다. 결국 글 쓰는 일뿐만 아니라 제목을 뽑은 나의 일도 글과 독자에 기대어 있는 셈이었다.
뒷배가 생긴 기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