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와 경북대학교 교수들이 공동 저술한 논문엔 2021년 2월 27일에 백신을 주입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이 논문 공동 저자에 한혜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과장과 연구원들이 등재되어 있다. 이는 입찰 이전인 2월에 농약을 주입한 것을 산림청이 사전에 알고 있었던 것을 의미한다.
조달청에 "입찰 이전에 용역 수행자를 내정하고, 실험까지 진행한 후 입찰해도 문제없는지?" 물었다. 조달청 관계자는 "분명 법을 위반한 것이고, 입찰의 공정성을 저해한 것"이라고 대답했다.
산림청은 의혹이 가득한 이런 실험 결과를 근거로 백신 검증 결과 재선충 치료 효과가 없다고 국회와 국민을 속이고 있다. 그동안 산림청이 재선충 예방에 사용해 온 일본 농약 아바멕틴은 화학약품이다. 그러나 백신은 생약이다. 날이 추운 2월에 생약을 주입한 것이 문제다. 용역 수행자와 산림청이 이미 결론을 짜고 실험한 게 아니라 하더라도, 실험 결과가 제대로 나올 리 없다.
지난 2023년 3월, 산림청 대변인(현재 서부지방산림청장)에게 입찰 이전에 백신을 구입한 연유를 물었다. 대변인은 백신 개발자인 대덕바이오가 백신을 주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백신 개발자인 성창근 교수에게 산림청 대변인의 해명이 사실인지 물었다. 성 교수는 강원대와 산림청의 문의조차 없었다고 대답했다.
산림청 대변인에게 다시 물었더니, 대변인은 자신이 개인적으로 대답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며 정식 문서로 접수해달라고 말을 바꾸었다. 소나무재선충 백신 검증에 대해 도대체 산림청은 무엇을 감추고 있는 것일까?
특히 산림청 대변인에게 실험 현장을 방문하여 내 눈으로 직접 보겠다고 수차례 요청했다. 그래야 그 실험 결과에 대해 모두가 인정 할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산림청은 백신이 효과 없다고 결론을 내린 후 현장의 모든 소나무들을 파기해 버렸다.
소나무재선충 백신 상용화에 산림청이 나서야
소나무 재선충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EU Legislation on Forest Plant Health: An Overview with a Focus on Fusarium circinatum'(2018년)에 따르면 현재 재선충이 확산된 지역은 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대만, 포르투갈 등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