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0월 31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소상공인대회 개막식'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정규직도 크게 늘었다.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 비율은 전체 임금노동자 중 38.2%, 846만 9천 명이었다. 이러한 수치는 코로나19 위기였던 2021년(38.4%)을 제외하면 역대 최대이다. 비정규직이 늘어난다는 것은 15시간 미만 초단시간, 특수고용 등 노동관계법 적용을 받지 못하는 취약 노동자가 늘었음을 의미한다.
정부는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멈췄고, 원청 사용자는 자신의 책무를 다하지 않으니 당연한 일이다. 대통령도 두 번이나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을 거부해 정부가 확실히 사용자 편임을 분명히 했다. 이러니 인건비가 싼 비정규직을 쓰지 않는 게 이상한 일이다.
최저임금인들 다를까. 지난 7월 결정한 2025년 최저임금 인상률은 1.7%였다. 코로나19 시기였던 2021년 1.5%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낮다. 물가인상률에도 미치지 못하는 결과였으나 정부는 영세자영업자를 고려했다고 변명했다.
역대급으로 낮은 최저임금 인상률에 대해 언론은 침묵했고, 기업은 안도의 한숨을 쉬었겠지만 정작 최저임금으로 살아가는 대한민국 국민의 20%는 좌절해야만 했다. 최저임금을 적어도 물가인상률만큼은 올리고, 대신 영세자영업자를 지원하는 정책을 구상해야 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지만 윤석열 정부에서는 고민의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
노동자의 권리를 대변하는 노동조합은 어떨까? 노조 조직률은 2021년 14.2%까지 늘었으나 윤석열 정부가 집권을 시작한 2022년 13.1%로 내려앉았다. 노동조합에 대한 정부의 혐오가 노골적이었던 탓이다. 정부는 혐오를 넘어 건설노조 간부를 구속하고 회계공시와 근로시간면제(타임오프) 규제 등으로 노동조합 활동을 위축시켰다.
노동조합이 노동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잘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정부가 노조를 비리집단으로 몰아세우니 조합원이 늘어날 리가 있겠는가. 노동조합이 약화하면 노동자의 권리 보호도 어려워지니 대한민국의 노동자들은 이래저래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어느 정권이든 집권하면 국민에게 존경받고 역사적인 성과를 내고 싶어 한다. 윤석열 정부도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어떤 정부는 성공하는가 하면, 어떤 정부는 그렇지 않다.
윤석열 정부는 어떨까? 적어도 고용노동 성적은 참담한 수준이다. 임금이 최대 규모로 체불되어 있으며, 비정규직 역시 코로나19 시기를 제외하면 역대 최대이다. 반대로 최저임금 인상률은 코로나19 시기를 제외하면 역대 최저이다. 이를 종합하면 '저임금 노동자는 늘어나는데 임금은 오르지 않고 오히려 체불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이를 막아 줄 노동조합은 힘이 빠졌다'고 요약할 수 있다.
선택은 윤 대통령과 집권세력에 달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