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서울 사람들이 몰려가 일산에서 촛불 켜고 야외에서 조용히 번개모임을 했던 풍경
서울 사람들이 몰려가 일산에서 촛불 켜고 야외에서 조용히 번개모임을 했던 풍경 ⓒ 김규환
호박잎쌈을 싸먹고 좀 쉴 생각으로 아이들과 놀다가 다시 컴퓨터 있는 방으로 옮겨갔다. 밤 11시 반쯤 된 시각이었다. 이 때 휴대폰 전화벨이 울렸다.

"홍어...김규환..."
"예, 그렇습니다만... 누구신가요?"
"홍어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
"예. 맞습니다."
"지지직~"
“여보세요? 말씀하세요.”
"또, 지지직~뚝."

전화가 끊겼다. 이번에는 찍힌 번호를 찾아 전화를 직접 했다.

"예, 방금 통화했던 사람입니다."
"홍어가..."
"지지지직~찍."

아이들이 만진 전화기 안테나가 부러져 소리가 엉망으로 들리고 이내 끊겼다. 전혀 알지 못하는 처음 대하는 분이었지만 '홍어'라는 말에 안심을 하고 일반 전화로 다시 걸었다.

홍어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 <홍좋사모>는 다음에 있습니다.
홍어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 <홍좋사모>는 다음에 있습니다. ⓒ 김규환
"전화가 자꾸 끊깁니다."
"네, 홍어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 김규환 씨죠?"
"그런데요. 무슨 일 있습니까?"
"밤늦게 죄송합니다. 저는 000인데요, 오늘 영통에서 홍어 먹다가 제 입이 완전히..."
"입안이 헐어서 소송하시려고요? 하하하"

생면부지의 사람과 나누는 대화 치고 내가 너무 나간 건가? 대번에 입천장이 벗겨진 걸 알아챘고, 그에 얽힌 분쟁쯤이겠거니 결론지었다. 대뜸 소송할거냐며 물었으니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어찌 보면 그렇게 바로 알아차리니 일단 안심을 했을 수도 있다. 홍어 먹으러 다니는 사람들의 회장 체면치레를 한마디로 할 수 있었던 내가 대견하기도 했다.

"예, 입천장은 물론이고 혀도 확 벗겨졌어요.”
“무얼 드셨길래 그랬답니까?”
“영통에서 홍어찜을 먹었는데 그러네요.”
“종종 있는 일입니다.”
“상가에 가서 몇 번 먹어봤는데 전에는 안 그랬거든요.”
“하하 제대로 삭힌 걸 드셨나봐요. 보통 찜과 탕은 훨씬 더 삭힌 것으로 합니다.”
“그렇군요. 아무 일 없겠죠?”
“며칠 지나면 아무 일 없습니다. 걱정 마십시오. 그리고 소송해봤자 지니까 하지 마세요. 허허허.”
“알겠습니다. 언제 한 번 뵙죠.”
“예. 그런데, 제 전화번호는 어떻게 아셨습니까?”
“모임에 가입했습니다.”
“언제요? 어떤 이름으로 가입하셨는데요?”
“‘홍어미워’입니다. 오늘밤에 가입했구요.”
“그럼 제가 확인하는 대로 바로 정회원으로 바꿔 드리겠습니다. 그럼 안심하고 잘 주무세요.”
“네, 조만간 모임 있을 때 뵙겠습니다.”

부정기 번개를 일주일이 멀다고 있고 정기모임은 홀수 달에 한 번씩 합니다. 며칠 전 가졌던 2003년 7월 정기모임에서. 회원은 800명이 조금 안된답니다.
부정기 번개를 일주일이 멀다고 있고 정기모임은 홀수 달에 한 번씩 합니다. 며칠 전 가졌던 2003년 7월 정기모임에서. 회원은 800명이 조금 안된답니다. ⓒ 김규환
무더운 여름철이라 홍어 맛이 조금 떨어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홍어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한 번 그 맛에 빠지면 헤어나지를 못한다. 요산에 중독된 것이니 남녀를 불문한다. 일주일에 세 번에서 다섯 번까지 막걸리와 함께 홍어찜, 홍어탕을 즐긴다. 이러다가 홍어와의 첫 대면에서 호되게 당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입천장이 벗겨지고 양 어금니 사이 약한 부분도 벗겨진다. 심하면 혀 마저 확 벗겨져 빨간 앵두에 가깝게 된다. 멋모르고 막 먹다가는 자신의 혀 껍질을 씹어 먹는 일도 발생한다. 몇 해 전 이런 일이 있어 실제 식당 주인을 상대로 소송을 했던 사례도 있었다.

뭐든 첫 걸음은 더디게 갈 필요가 있다. 확 당긴다고 덥석 물었다가는 복날 가히(멍멍이)처럼 뼈도 못 추리는 신세가 되고 마는 게 세상사다. 얼마 전부터는 나도 홍어를 객관적으로 보려고 노력한다. 홍어에 푹 빠져 지낸 것이 어느덧 7월 달이 넘어간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김규환은 서울생활을 접고 빨치산의 고장-화순에서 '백아산의 메아리'를 들으며 살고 있습니다. 6, 70년대 고향 이야기와 삶의 뿌리를 캐는 글을 쓰다가 2006년 귀향하고 말았지요. 200가지 산나물을 깊은 산속에 자연 그대로 심어 산나물 천지 <산채원>을 만들고 있답니다.도시 이웃과 나누려 합니다. cafe.daum.net/sanchaewon 클릭!

이 기자의 최신기사역시, 가을엔 추어탕이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