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구의 실핏줄로 불리는 도랑을 살리기 위해 본격적인 운동을 시작한 (사)물포럼코리아에서는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3박 4일 동안 일본 구마모토 현 일대의 물 관리 및 하천관리 실태, 도랑복원 사례 등을 돌아봤다. <오마이뉴스>가 여기에 동행 취재해 연속 보도한다. [편집자말]
 생활하수로 썩어가던 도랑을 주민들이 살려내어 해마다 축제를 여는 공간으로 탈바꿈 시킨 일본 구마모토현 다마나시의 '우라가와'.
 생활하수로 썩어가던 도랑을 주민들이 살려내어 해마다 축제를 여는 공간으로 탈바꿈 시킨 일본 구마모토현 다마나시의 '우라가와'.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우라가와'에서는 매년 5월 말에서 6월 초순 경 '꽃창포' 축제가 열린다. 사진은 축제 홍보책자의 한 장면.
 '우라가와'에서는 매년 5월 말에서 6월 초순 경 '꽃창포' 축제가 열린다. 사진은 축제 홍보책자의 한 장면.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생활오수와 쓰레기가 넘쳐나던 도심 속 도랑을 주민들의 노력으로 친수공간으로 바꾸어 내고, 그 곳에 창포를 심은 뒤 해마다 축제를 열어 지역경기에 보탬이 되도록 탈바꿈한 도시가 있어 도랑살리기 운동의 한 모델이 되고 있다.

일본 규슈섬 구마모토현 북부에 위치한 다마나시는 인구 7만2000명 정도의 소규모 농촌도시다.

이곳은 일본 에도시대 때 오사카와 도시마 등으로 쌀을 실어 나르는 큰 나루터가 있을 만큼 곡창지대의 끝자락에 놓여있다. 그 곡창지대 사이를 기쿠치강이 흐른다. 배들은 바다에서 이 강을 거슬러 올라와 쌀섬들을 실어 날랐다.

그러나 내륙으로 철도와 도로가 생기고, 더 이상 강을 이용한 쌀 나르기가 사라지자 번성했던 다마나는 쇠락하기 시작했다. 쇠락해가는 도시와 함께 기쿠치로 흘러들어가는 소규모 하천들도 썩어갔다. 생활오수와 축산폐수, 쓰레기들로 넘쳐났다.

생활오수와 쓰레기 넘치던 도랑을 친수공간으로

그러자 일본 정부에서는 이 곳을 메워 주차장을 만들 계획을 세웠다. 이를 알게 된 주민들이 일어섰다. 쌀 수송을 위한 나루터였던 다카세지역의 도랑 '우라가와'를 살려내고, 이를 중심으로 도심을 재개발해 보자는 취지였다.

즉, 선조들의 숨결이 그대로 살아있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전하면서도 도시를 새롭게 재건해 보자는 게 이들의 생각이었다. 청년회, 노인회, 상공회의소 등이 앞장을 서 '우라가와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 결성됐다.

이들은 기쿠치 강처럼 큰 강은 국가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우라가와 같은 작은 도랑을 주민들이 관리해 보자는 취지를 살려 정부와 함께 아이디어를 연구해내면서 우라가와의 재탄생을 도왔다.

정부는 20년 동안 이곳에 10억엔(한화 약 120억원)을 쏟아 부으면서 '우라가와' 및 그 주변의 도심 재건을 도왔고, 주민들은 자원봉사를 하면서 힘을 보탰다.

시민들은 우라가와를 정비하면서 홍수에는 강하도록 돌로 벽을 쌓고, 바닥에는 만조시 밀려들어오는 바닷물에도 견디는 창포를 심었다. 그리고 그 사이를 시민들이 마음껏 지나다닐 수 있도록 나무데크를 놓았고, 버려져 있던 옛 돌들을 모아 예쁜 다리와 징검다리, 휴식공간 등을 만들었다.

또한 정부는 더 이상 이곳에 더러운 생활오수나 폐수 등이 흘러들어 가지 않도록 하수시설을 만들었고, 시민들은 정기적으로 나와 청소를 했다. 지난 해부터는 수질보호를 위해 미생물(EM)을 넣어 주고 있다.

 왼쪽은 오염되어 방치되던 '우라가와' 사진, 오른쪽은 주민들의 노력으로 새롭게 살아난 '우라가와'의 현재 모습.
 왼쪽은 오염되어 방치되던 '우라가와' 사진, 오른쪽은 주민들의 노력으로 새롭게 살아난 '우라가와'의 현재 모습.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우라가와'의 데크를 걸으며, 수생식물이 '꽃창포'의 식재 상황을 살펴보고 있는 '한국 도랑살리기 방문단'
 '우라가와'의 데크를 걸으며, 수생식물이 '꽃창포'의 식재 상황을 살펴보고 있는 '한국 도랑살리기 방문단'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그러한 노력으로 우라가와는 더 이상 버려진 도랑이 아닌, 다마나 시민들의 멋진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뿐만 아니라 매년 5월 말에서 6월 초순이 되면 '꽃창포' 축제가 이곳에서 열린다.

다양한 이벤트와 함께 1㎞가 넘는 꽃창포 도랑길을 걸으면서 추억을 만드는 이 축제에는 해마다 20만 명이 찾을 정도의 명물이 됐다. 당연히 지역경기에도 도움이 됐고, 그러면서 옛 선조들이 남겨놓은 에도시대의 쌀 창고는 관광객을 위한 전시공간으로, 선조들이 쌀을 굴리기 위해서 깔아놓았던 돌들은 푸른 잔디와 꽃창포 사이를 지나는 멋진 돌길을 만들어 줬다.

이렇게 바뀐 다마나시 우라가와는 도심 속 썩어가는 도랑을 어떻게 시민들에게 돌려줘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도랑살리기의 한 모델이 됐다.

"보여주기식 복원보다는 시민 직접 참여가 의미"

 '우라가와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한 회원이 주민들의 노력으로 다시 태어난 '우라가와'의 복원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우라가와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한 회원이 주민들의 노력으로 다시 태어난 '우라가와'의 복원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주민들의 노력으로 다시 살아난 '우라가와'의 상류지역 모습.
 주민들의 노력으로 다시 살아난 '우라가와'의 상류지역 모습.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아쉬움도 있다. 홍수에 대비하면서도 폭이 좁다는 도심 속 도랑의 특성을 고려하다 보니 하천의 양쪽에 벽을 쌓아야만 했다. 생태적인 측면이 다소 간과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우라가와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사르와다이 회장은 "우라가와 살리기를 통해 지역주민들은 물과 하천의 중요성을 알게 됐고, 사람이 어떻게 물과 어우러져 살아가야 하는가를 깨닫게 됐다"고 말했다.

현장을 둘러 본 (사)하천사랑운동 김재승 대표는 "우라가와의 사례는 도랑살리기 운동을 하고 있는 한국에 큰 의미를 주고 있다, 친환경 생태하천이라는 보여주기식 복원보다는 시민들이 스스로 참여하여 하천을 시민들의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려 하는 모습은 우리가 본 받아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도랑살리기#구마모토#우라가와#물포럼코리아#다마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