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궂은 한자말 털기 (39) 설명

[우리 말에 마음쓰기 368] '미움'을 버리고 '원망'만 찾는 사람들

등록 2008.07.11 14:25수정 2008.07.11 14:25
0
원고료로 응원
ㄱ. 설명

.. 이 글에 대해서도 긴 설명은 하지 않겠다 ..  <삶·문학·교육>(이오덕, 종로서적, 1987) 138쪽


“이 글에 대(對)해서도”는 “이 글도”나 “이 글을 놓고도”로 다듬습니다.

 ┌ 설명(說明) : 어떤 일이나 대상의 내용을 상대편이 잘 알 수 있도록 밝혀 말함
 │   - 새 기획안에 대한 설명이 끝나자 질문이 쏟아졌다 /
 │     친구의 설명만으로는 문제가 이해되지 않아서 /
 │     책에는 국어학의 주요 용어들이 잘 설명되어 있다 /
 │     신자들에게 교리를 설명하다 / 학생들에게 인수 분해에 대해 설명해 주셨다
 │
 ├ 긴 설명은 하지 않겠다
 │→ 길게 말하지 않겠다
 │→ 길게 밝혀 말하지 않겠다
 └ …

잘 알 수 있도록 밝혀 말하는 일이 ‘설명’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한 마디로 ‘밝혀 말하다’라 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아예 ‘밝혀말하다’를 한 낱말로 삼을 수 있고요. ‘밝혀말하기’처럼 써도 괜찮으리라 봅니다. ‘-말하기’를 뒷가지로 삼으면, ‘새겨말하기-깊이말하기-거듭말하기-가려말하기’처럼 적어 볼 수 있습니다.

 ┌ 설명이 끝나자 → 이야기가 끝나자
 ├ 친구의 설명만으로는 → 동무가 해 준 말만으로는
 ├ 잘 설명되어 있다 → 잘 풀이되어 있다
 ├ 교리를 설명하다 → 교리를 들려주다
 └ 인수 분해에 대해 설명해 주셨다 → 인수 분해를 알려주셨다

“밝혀서 말하다”나 ‘밝혀말하다’로 적어도 괜찮고, ‘말하다’나 ‘이야기하다’로만 적어도 괜찮습니다. 자리에 따라서 ‘들려주다’나 ‘알려주다’를 넣어 주기도 하고, ‘풀이하다’를 넣기도 합니다.


 ┌ 이 글을 놓고 길게 이야기하지 않겠다
 └ 이 글을 길게 다루지 않겠다

다른 이가 쓴 글이나 책이 어떠한가를 밝히는 자리에서는 ‘다루다’라는 낱말을 넣어도 제법 어울립니다. ‘살피다’를 넣어도 어울리며, ‘살펴보다’도 퍽 어울립니다.

ㄴ. 원망

.. 이리 억울할 수가 있나! 태어나 지금까지 먼저 돌아간 어머니를 원망한 적이 없더니, 지금처럼 어머니가 미운 적이 없다. 겉으로는 우리 아가 우리 콩쥐 위하면서 속으로는 온갖 구박 다하는 새어머니보다 일찍 돌아간 내 진짜 어머니가 훨씬 밉다 ..  <어린이를 위한 흑설공주 이야기>(뜨인돌어린이, 2006) 36쪽

‘위(爲)하다’는 ‘생각하다’로 다듬습니다. ‘억울(抑鬱)할’은 그대로 두어도 되고, ‘답답할’이나 ‘가슴이 무너질’로 손보아도 됩니다. ‘계모(繼母)’라 하지 않고 ‘새어머니’라고 적은 대목은 반갑습니다. 때로는 ‘의붓어머니’라고 적을 수 있습니다.

 ┌ 원망(怨望) : 못마땅하게 여기어 탓하거나 불평을 품고 미워함
 │   - 원망의 눈초리 / 원망에 찬 얼굴 / 원망을 사다
 ├ 원망(遠望)
 │  (1) 멀리 바라봄
 │  (2) 먼 앞날의 희망
 ├ 원망(願望) : 원하고 바람. ‘바람’, ‘소원’으로 순화
 │   - 이 중의 단 한 가지 원망일지라도 만일에 실현될 수 있다면야 /
 │     승리를 원망하다 / 시험에 합격하기를 원망하다
 │
 ├ 어머니를 원망한 적이 없더니 (x)
 └ 지금처럼 어머니가 미운 적이 없다 (o)

보기글을 보면 앞에서는 ‘원망’이라 했지만 바로 뒤에서는 ‘미운’이라 말합니다. 글 끝에는 ‘밉다’라 하고요. 그러면 ‘원망’과 ‘밉다’는 어찌 다른 말일까요. 아니, 다른 말이기나 할까요.

 ┌ 원망의 눈초리 → 미워하는 눈초리
 ├ 원망에 찬 얼굴 → 미움에 찬 얼굴
 └ 원망을 사다 → 미움을 사다

국어사전을 살펴보니, ‘원망’이라는 한자말이 셋 나옵니다. 이 셋 가운데 ‘미워하다’를 뜻하는 ‘원망(怨望)’만 쓰이고 다른 둘은 안 쓰입니다. 멀리 바라볼 때에는 “멀리 바라본다”고 하지, ‘원망(遠望)한다’고 하지 않습니다. 먼 앞날 희망을 ‘원망’이라고 적는들, 어느 누가 알아볼까요. 한자를 밝혀 주어도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세 번째 한자말 ‘원망(願望)’ 또한 거의 쓸 일이 없는 한편, 이와 같은 말을 쓰면 ‘원망(怨望)’하고 헷갈리게 됩니다.

 ┌ 단 한 가지 원망일지라도 → 어느 한 가지 꿈이라도
 ├ 승리를 원망하다 → 이기기를 바라다
 └ 시험에 합격하기를 원망하다 → 시험에 붙기를 바라다

“승리를 원망한다”라 할 때, 이 ‘원망’이 ‘바람’을 뜻한다고 생각할 분이 몇 사람쯤 될까요. “원망의 눈초리”는 “미워하는 눈초리”가 아닌 “바라는 눈초리”라 말해도 무어라 대꾸할 수 없습니다. 한글로 적어 놓으면 어느 쪽 말인지 종잡을 수 없어요.

한글로 적어 놓을 때 알아볼 수 없는 말이라 하면, 우리 말이 아닙니다. 토박이말도 그렇습니다. 한글로 적은 토박이말임에도 뜻을 모르겠다고 하면, ‘죽은말’을 쓴 셈입니다. 비록 오늘날 사람들이 그 토박이말을 잊어버렸다고 할지라도.

우리 스스로 우리 삶에서 토박이말을 걷어치우거나 내다 버렸으니, 어쩌는 수 없이 죽은말이 자꾸만 생겨납니다. 게다가, ‘원망(願望)’이니 ‘원망(遠望)’이니 ‘원망(怨望)’이니 하면서, 자꾸만 우리 말은 좀먹고, 말장난을 하듯이 한자말 새로 지어서 쓰기를 일삼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한테는 우리 말 문화가 없다고 해도 틀리지 않습니다. 우리 스스로 아끼지 않을 뿐더러, 우리 스스로 팔짱을 끼고 나 몰라라 하고 있는 판에, 무슨 문화요 삶이요 역사요 교육이 있으랴 싶습니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http://hbooks.cyworld.com (우리 말과 헌책방)
http://cafe.naver.com/ingol (인천 골목길 사진)


덧붙이는 글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http://hbooks.cyworld.com (우리 말과 헌책방)
http://cafe.naver.com/ingol (인천 골목길 사진)
#한자말 #우리말 #우리 말 #한자어 #한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금반지 찾아준 사람이 뽑힐 줄이야, 500분의 1 기적
  2. 2 '윤석열 안방' 무너지나... 박근혜보다 안 좋은 징후
  3. 3 '조중동 논리' 읊어대던 민주당 의원들, 왜 반성 안 하나
  4. 4 "미국·일본에게 '호구' 된 윤 정부... 3년 진짜 길다"
  5. 5 채상병·김건희 침묵 윤석열... 국힘 "야당이 다시 얘기 안 해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