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유두날입니다

명절의 유래와 세시풍속... 불편했던 이웃과 같이 웃는 날

등록 2006.07.10 15:00수정 2006.07.10 17:18
0
원고료로 응원
a 유두와 여름에 즐겼던 발담그기, 조선 중기의 화가 이경윤의 '고사 탁족도(濯足圖)'.

유두와 여름에 즐겼던 발담그기, 조선 중기의 화가 이경윤의 '고사 탁족도(濯足圖)'. ⓒ 국립중앙박물관

우리 겨레가 즐겼던 4대 명절은 설날, 단오, 한식, 한가위를 말한다. 이밖에도 정월대보름, 초파일, 유두, 백중, 동지도 명절로 지냈다.

하지만 이제 많은 사람은 유두(流頭 : 음력 6월 15일)와 백중(百中 : 음력 7월 15일)이 무엇인지도, 어느 날인지도 잘 알지 못한다.


오늘(10일) 음력 6월 15일은 '유두날'이지만 유두국수를 먹고,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유두천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세시풍속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유두는 유두날이라고도 하는데, '동류두목욕(東流頭沐浴)'의 준말이다. 이것은 신라 때부터 있었던 풍속이며, 동방의 가장 원기가 왕성한 곳으로 보는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뜻이다. 이렇게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면 액을 쫓고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졌다.

유두를 신라 때 이두로 '소두'(머리 빗다), '수두'라고도 썼다. 수두란 물마리(마리는 머리의 옛말)로 '물맞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요즘도 신라의 옛 땅인 경상도에서는 유두를 '물맞이'라고 부른다. 유두는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을 맞았다는 말에서 유래하였다고 본다.

유두에 관한 기록들

유두에 관한 기록을 보면 신라시대 때부터 명절로 지냈을 것으로 짐작된다. 13세기 고려 희종(熙宗) 때의 학자인 김극기(金克己)의 <김거사집(金居士集)>에는 "동도(東都 : 경주)의 풍속에 6월 15일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액(厄)을 떨어버리고 술 마시고 놀면서 유두잔치를 한다"는 기록이 있다.


a 유두의 풍속이 기록된 최남선의 '조선상식(朝鮮常識)' 풍속편 표지.

유두의 풍속이 기록된 최남선의 '조선상식(朝鮮常識)' 풍속편 표지. ⓒ 수원남문서점(www.ibuybook.co.kr)

또 <중경지(中京志)> 권2 풍속조에도 나오고, <고려사(高麗史)> 권20 명종(明宗) 15년 조에는 "6월 병인(丙寅)에 시어사(侍御史 : 고려시대 어사대의 벼슬아치) 두 사람이 환관 최동수와 더불어 광진사(廣眞寺)에 모여 유두음식을 마련했다. 나라 풍속은 이달 15일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서 머리를 감아 나쁜 일을 없애는데, 이 잔치를 유두연(流頭飮)이라 부른다"라고 쓰여 있다. 조선 후기의 <동국세시기>에도 비슷한 기록이 있다.

근대에 보면 최남선의 <조선상식(朝鮮常識)> 풍속 편에 여자들의 물맞이 장소로, 서울의 정릉 계곡, 광주의 무등산 물통폭포, 제주도의 한라산 성판봉폭포 따위를 꼽았다.


이승만의 <풍류세시기>에는 그밖에 소나무숲과 물이 좋은 악박골, 사직단이 있는 활터 황학정 부근과 낙산 밑 따위가 좋은 곳이라고 했다. 이렇게 근대까지도 유두는 분명 명절이었다.

유두의 세시풍속과 시절음식

유두의 대표적인 풍속은 유두천신(流頭薦新)이다. 이는 유두날 아침 유두면, 상화떡, 연병, 수단, 건단과 피, 조, 벼, 콩 따위의 여러 가지 곡식을 참외나 오이, 수박 등과 함께 사당에 올리고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한다. 효심이 강했던 옛날에는 새 과일이 나도 자기가 먼저 먹지 않고 조상에게 올린 다음에 먹었다.

농촌에서는 밀가루로 떡을 만들고 참외나 기다란 생선 따위로 음식을 장만하여 논의 물꼬와 밭 가운데에 차려놓고 농사신에게 풍년을 비는 고사를 지낸다. 그리고 자기의 논밭 하나, 하나마다 음식물을 묻은 다음 제사를 마친다.

a 퇴게 종가의 유두천신 제사 상차림(‘종가의 제례와 음식 7, 국립문화재연구소)

퇴게 종가의 유두천신 제사 상차림(‘종가의 제례와 음식 7, 국립문화재연구소) ⓒ 국립문화재연구소

유두날 선비들은 술과 고기를 장만하여 계곡이나 정자를 찾아가서 시를 읊으며 하루를 즐기는 유두연(流頭宴)을 했다.

유두의 대표 음식은 뭐니 뭐니 해도 '유두국수'다. 유두국수는 햇밀로 국수를 만들어 닭국물에 말아먹는데, 수명이 길어진다고 믿었다. 그리고 유두국수를 참밀의 누룩으로 만들면 '유두국'이라고도 하였고, 구슬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 오색으로 물들인 후 세 개씩 포개어 색실에 꿰어 몸에 차거나 문에 매달면 액을 막는다고 믿었다.

또 찹쌀과 밀가루로 흰떡처럼 빚어서 썬 다음, 녹말을 씌워 삶아내 꿀물에 넣어 먹는 수단도 있다. 밀가루 반죽을 얇게 밀어 호박이나 오이 채 썬 것을 넉넉히 넣고 찌거나 차가운 장국에 띄워 먹는 편수와 밀전병을 얇게 부쳐서 오이, 버섯, 고기 등을 가늘게 채를 썰어 볶아 넣거나, 깨를 꿀에 버무려 넣는 밀쌈도 먹는다. 밀가루를 누룩이나 막걸리 따위로 반죽하여 부풀려 꿀팥으로 만든 소를 넣고 빚어 시루에 찐 떡도 먹는데, 이는 '상화떡(霜花餠)'이라고 한다.

a 유두절식들(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구절판, 밀쌈, 상화병, 편수, 미만두(규아상)

유두절식들(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구절판, 밀쌈, 상화병, 편수, 미만두(규아상) ⓒ 김영조

그밖에도 미만두와 구절판이 유두 때의 초여름 음식들이다. 미만두는 더운 계절에 먹는 만두로 해삼 모양으로 빚어 찌거나, 냉국에 띄워 먹는다. 궁궐에서는 규아상이라 불렀다. 구절판은 아홉 칸으로 나누어진 그릇에 각각의 밀쌈 음식이 담아 나오는 것이다.

유두에 비가 내리면 연 사흘 내려... 유두는 불편했던 이웃과 같이 웃는 날

우리 선조는 특정한 날에 반드시 비가 내릴 것으로 믿었다. 즉 음력 5월 10일은 반드시 비가 내리는데, 이는 '태종우'로 풍년이 든다고 생각했다. 제주도에서는 7월 1일, 이곳에 유배되어 가시울타리 속에서 죽은 광해군의 한이 맺혀 비가 내리는 것으로 믿는다. 칠석날에는 견우직녀의 비가 내린다고 하고, 삼복에 내리는 비를 '삼복우', 음력 6월 29일 진주지방에 내리는 비를 '남강우'라고 한다.

이처럼 유두에도 비가 온다고 하는데, 비가 내리면 연 사흘을 내린다. 유두날은 연중 집안에 갇혀 살아야 했던 부녀자에게 이날 하루만은 나들이가 허락되는 날로, 비가 내려 외출을 못하면 나들이를 못한 여자들의 한이 커져서 사흘씩이나 비가 내린다고 생각했다. 오늘 태풍의 영향으로 비가 내린다는데, 그러면 사흘 오게 되려나? 비는 오더라도 피해는 없었으면 좋겠다.

또 유두에는 식구, 친지나 일을 같이할 사람과 동쪽으로 흐르는 맑은 물을 찾아가 머리를 씻고, 술을 돌려 마심으로써 공동체임을 확인한다. 그래서 이 풍속을 정약용은 '계'의 뿌리로 보고 있다.

특히 유두는 식구나 친지뿐만 아니라 불편했던 이웃과 갈등을 깨끗이 풀고 하나가 되는 아름다운 명절이다. 평소 미워하던 사람과 같이 머리를 감으면서 화해를 하는 것이다. 이제 현대인들이 유두를 명절로 지내지는 않더라도 이날의 의미를 새기며, 불편했던 이웃과 웃을 수 있는 하루를 만들어 보면 좋지 않을까?

덧붙이는 글 | ※ 이 기사는 <시골아이>, <대자보>에도 보냅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골아이>, <대자보>에도 보냅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으로 우리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알리는 글쓰기와 강연을 한다. 전 참교육학부모회 서울동북부지회장, 한겨레신문독자주주모임 서울공동대표, 서울동대문중랑시민회의 공동대표를 지냈다. 전통한복을 올바로 계승한 소량, 고품격의 생활한복을 생산판매하는 '솔아솔아푸르른솔아'의 대표를 하고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얼굴 창백한 계산원을 보고 손님이 한 행동 얼굴 창백한 계산원을 보고 손님이 한 행동
  2. 2 일타 강사처럼 학교 수업 했더니... 뜻밖의 결과 일타 강사처럼 학교 수업 했더니... 뜻밖의 결과
  3. 3 유럽인들의 인증샷 "한국의 '금지된 라면' 우리가 먹어봤다" 유럽인들의 인증샷 "한국의 '금지된 라면' 우리가 먹어봤다"
  4. 4 꼭 이렇게 주차해야겠어요? 꼭 이렇게 주차해야겠어요?
  5. 5 알고도 대책 없는 윤 정부... 한국에 유례 없는 위기 온다 알고도 대책 없는 윤 정부... 한국에 유례 없는 위기 온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