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 권13 ‘고구려본기’1<삼국사기>
"사람을 시켜서 그 돌을 옮기니, 작은 아이가 있어 금빛(金色) 개구리 모양(蛙形)을 하고 있었다. 왕이 기뻐하며 말하기를 이는 곧 하늘이 나에게 후사를 내려주심이라 하였다. 이에 (아이를) 거두어 기르고 이름을 금와라고 하였으며, 그가 장성하자 태자로 삼았다."
이에 의하면, 해부루는 아이가 금빛(金) 개구리(蛙) 모양을 띠고 있었기에 그 이름을 금와(金蛙)라고 하였으며, 훗날 아이가 장성한 후에 그를 태자로 삼았다. 김부식은 "일설에는 와(蛙)를 와(蝸, 달팽이)라고 했다"는 주석을 덧붙였다. 이러한 기록을 보면, 금와가 해부루의 친아들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친아들이 아닌 자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것은 정치적 모험이 될 수 있다. 신하들이나 백성들이 이를 거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별한 개인적 능력이 없는 한 선왕의 친아들이 아닌 사람을 왕으로 받아들이기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금와에게는 후계자로서의 정통성이 없거나 혹은 약했다.
정통성이 없거나 약한 금와에게 왕위를 물려주려면 일종의 ‘정치적 조작’이 필요했다. ‘신성시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린아이가 금빛 개구리 모양을 하고 있었다는 이야기를 만들어낸 것은 금와에게 정통성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라고 볼 수 있다. 금와의 정통성이 해부루에게서 나올 수는 없었기 때문에 그 정통성이 하늘에서 나왔다고 ‘조작’한 것이다.
위와 같이 주몽 출생 이전의 부여에서는 혈통상의 왕자가 아닌 금와가 일종의 ‘정치적 조작’에 힘입어 왕위 계승자로서의 정통성을 구비한 선례가 있었다. 그러므로 부여 사람들은 혈통상의 왕자가 아닌 자를 왕으로 받아들인 경험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 같은 선례를 고려하면, 주몽이 단지 금와의 친아들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부여에서 배척을 받았다고는 볼 수 없을 것이다.
금와왕이 양자로서 왕위를 계승한 선례가 있었다. 그리고 주몽은 능력이 출중한 인물이었다. 또 그는 금와왕의 특별한 총애를 받고 있었다. 그러므로 상황 여하에 따라서는 주몽이 부여의 통치자로 등극할 가능성이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부여의 왕자들과 신하들이 그를 유별나게 견제한 데에서 그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주몽은 결국 왕위계승자가 되기는커녕 도리어 ‘도망자’의 신세가 되고 말았다. 결과적으로는 잘 된 일이지만, 주몽이 부여를 탈출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결코 그가 금와왕의 친아들이 아니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문제는 그의 능력이 너무 출중했다는 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소를 포함하여 7명이나 되는 금와의 친아들들이 그를 견제하고 또 신하 집단도 왕자들의 편에 선 주된 이유는 주몽의 능력이 너무 뛰어났기 때문일 것이다. 그가 금와의 친아들이 아니라는 점은 부차적인 이유일지도 모른다.
"주몽은 (그 능력으로 볼 때) 사람의 아들이 아니므로 일찌감치 죽이지 않으면 후환이 두렵다"는 대소의 말에서 주몽의 출중함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능력이 너무 뛰어난 주몽은 남의 왕위를 물려받을 수 없었기 때문에 스스로 나라를 세울 수밖에 없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kimjongsung.com.시사와역사 출판사(sisahistory.com)대표,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친일파의 재산,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등등.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