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목안시민공원에서 바라본 수리산
허시명
한번은 수리산에서 막걸리를 팔다가 1000만 원이 넘는 벌금을 받고 정식 양조면허를 내기 위해서 막걸리학교를 찾아온 이가 있었다.
"아유, 그렇게 많은 벌금을 내셨어요? 조금 적게 팔았다고 말씀하시지 그랬습니까?" 위로 삼아 그렇게 말했더니 그럴 수가 없었다고 한다. 자신이 담근 술맛이 좋아서, 이 산 저 산에서 그 술을 가져다 팔았나 보다. 그 사람들이 죄다 잡혀들어가 언제부터 얼마 분량의 술을 팔았는지 실토하는 바람에 어쩔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이는 술을 배우고, 수리산 자락의 마을에 양조장을 내고, 수리산 봉우리 하나를 술 이름 삼아 술을 빚고 있다.
산에 가면 사람들이 막걸리를 한 잔씩 하려 든다. 좋은 관행은 아니다. 그래서 단속을 하지만, 단속반원이 산에서 살 수도 없는지라, 그것을 쉽게 막아내지 못한다. 막걸리 한 사발에 2000원, 짭조름한 마른 멸치에 고추장이 안주로 나온다.
굳이 산중의 술을 이야기하는 것은, 다른 술도 아니고 왜 막걸리가 산속에서 먹히냐를 살펴볼 필요가 있어서다. 등산가들이 가지고 다니는 필수품 중에 위스키가 있다. 작은 병 위스키는 50㎖ 정도 되는데, 알코올 40% 위스키 한잔에 140㎉가 들어있다. 공깃밥 한 그릇이 300㎉이니, 반 공기 밥을 먹었을 때의 에너지를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