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읍민 젖줄 무한천 '녹조라떼' 발생

"수돗물 이상없다"… 주민들 불안 호소

등록 2019.07.23 14:15수정 2019.07.23 14:15
0
원고료로 응원
 

예산정수장 바로 뒤 무한천, 2/3 정도가 녹조로 뒤덮였다. ⓒ <무한정보> 김동근


충남 예산군 예산읍민의 젖줄인 무한천에서 이른바 '녹조라떼'가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

여름철만 되면 폭염과 가뭄 등으로 인해 조류가 증식하면서 일시적으로 상수도보호구역 수질을 악화시키는 것이다.

수돗물은 60개 먹는 물 기준에 적합해 전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예산정수장이 이곳에서 2~4m 모래층 밑 복류수를 취수한 뒤, 소독-혼화-응집-침전-여과 등 정수과정을 거쳐 수용가(3만644명)로 공급하기 때문에 안심하고 마실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직접 녹조를 목격한 주민들은 불신의 눈초리를 거두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행정이 안전성 확보와 더불어 신뢰를 심어주고 시각적인 불안감까지 해소하기 위해선, 친환경 방제작업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7일 예산정수장 뒤편 무한천. 주민들이 모여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들이 가리키는 곳은 온통 진녹색으로 변했다. 탁한 녹색 입자들이 하천을 뒤덮어 악취를 풍기고, 한쪽에선 녹조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상징적인 혐오생물이 되다시피 한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됐다.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는 유속이 느리고 수온이 높은 환경에서 잘 자라는 게 특징이다. 정체된 수역 등에서 과도하게 개체 수가 늘고, 일반적으로 장마가 끝난 뒤 약 5~6주가 지나 최대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무한천은 저수율이 32%(19일 기준)로 떨어진 예당저수지에서 내려오는 물이 없어 흐름이 끊겼다. 김승희 금강유역환경청장도 18일 예산정수장을 방문해 수질과 시설을 점검하고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을 당부하는 등 관심을 나타냈다.
   

김승희 금강유역환경청장과 황선봉 군수가 녹조가 껴 녹색으로 변한 하천수와 복류수를 비교하고 있다. ⓒ <무한정보> 김동근

 
예산군은 녹조 제거 보다 정수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상황이다. 올해 27억 원을 들여 소독설비(차염발생기 3대)와 경사판 침전지(2지)를 설치하고, 활성탄·소석회 투입 장치를 교체하는 등 정수장 개량사업을 완료했다.


또 조류경보제 비대상지역으로 주기적인 의무사항이 아니지만, 녹조로부터 수돗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 3월부터 매달 먹는 물 수질 감시항목 가운데 맛·냄새 물질인 2-MIB와 지오스민을 추가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7월 15일 자 검사 결과를 보면 지오스민은 나오지 않았고, 2-MIB는 수질감시기준(0.02㎍/L) 이내(0.007㎍/L)로 검출됐다.

무한천에서 만난 주민들은 "매년 이맘때면 심각한 녹조가 되풀이되고 있다. 미관상 좋지 않은 것을 떠나 예산읍민이 이 물을 보고도 수돗물을 먹겠나"라며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지난해 8월에는 일부 아파트 수도꼭지에서 녹색 수돗물이 흘러 '혹시 수돗물에도 녹조가 생긴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다. 다행히 수질검사에선 남조류에 의해 만들어지는 발암성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이 불검출돼 입주민들이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덧붙이는 글 직접 취재
#녹조라떼 #먹는물기준 #수돗물 오염 #무한천 #예산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본인이 일하고 있는 충남 예산의 지역신문인 무한정보에 게재된 기사를 전국의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픈 생각에서 가입합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4. 4 '헌법 84조' 띄운 한동훈, 오판했다
  5. 5 북 고위인사 전문진술 인정한 이화영 판결문...이례적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