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픽사베이
반면, 택시 운전을 하면서 차창 밖으로 목격하고 잊을 만하면 손님으로 만나는 문신한 사람들은 여전히 내게 불안과 부정의 대상이다. 특히 한 여름에는 오토바이를 탄 배달 청년의 반바지 아래 굵은 다리를 가득 채운 검은 색의 문신을 자주 보게 된다.
대개 그런 문신을 한 사람들은 신호 대기 중에(심지어는 주행 중에도) 한쪽 발은 양반 다리를 하고 담배를 피워 문 채 한 손으로는 스마트폰 터치하느라 바쁘다. 같은 장면을 반복적으로 목격하면서 다리 문신을 한 배달 노동자를 떠올릴 때면 절로 연상되는 특징적인 모습이다. 아무래도 불편하다.
지난여름 평일 어느 날 오후였다. 주택가에서 콜이 왔다. 출발지에 도착했는데 손님이 보이지 않았다. 가끔 차가 도착한 후에 나오는 경우도 있어 으레 곧 나오겠지 하고 기다리는데 기미가 없다. 불길한 예감과 함께 짜증이 밀려왔다. 기사가 직접 예약취소를 할 수 있는 시간 3분을 넘기 직전이었다.
앞쪽에서 건장한 젊은 남자가 전혀 서두르는 기색 없이 느린 걸음으로 걸어오더니 차 문을 열었다. 그의 왼쪽 팔에 새겨진 '이레즈미' 문신이 섬뜩했다. 상대방에게 위압감을 주려는 의도로 새긴 문신이었다면 내겐 탁월한 효과였다. 직전에 일었던 짜증은 간데없이 사라지고 모종의 두려움 섞인 긴장감이 불쑥 파고들었다.
목적지는 가까운 초등학교였다. 도착할 즈음 그가 약간 명령조의 어투로 학교 앞에서 아이를 태우고 다시 집으로 갈 수 있냐고 물었다. 마음속으로는 그와 금방 헤어지고 싶었지만 입에서는 전혀 다른 말이 나왔다. "그럼요."
학교 앞에 도착해서 아이가 나오기를 기다렸다. 택시 기사 입장에서는 썩 불쾌한 상황이었지만 어쩔 수 없었다. 곧 초등학교 1학년으로 보이는 어린 남자아이가 차에 오르는데 어둡고 무표정한 얼굴이다. 학교가 끝났고 아빠를 만났고 집으로 가는 기분 좋은 길인데다 잠시도 지루함을 견디지 못하고 조잘대야 할 어린아이가 한마디 말이 없었다.
침묵을 깬 아빠가 (친절함과는 거리가 먼 어투로) 학교는 어땠냐고 물었는데 아이는 내가 들을 수 없는 작고 초라한 목소리로 무슨 말인지를 짧게 대답했고 더 이상 말은 이어지지 않았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뒷자리에 나란히 앉은 두 부자의 아우라는 무겁고 어두웠다. 문신이 풍기는 이미지가 편견을 주었는지 모르지만 아이의 표정 없는 얼굴이 그날 저녁까지 괜히 우울하게 머릿속을 떠다녔다.
문신한 사람들을 자주 목격하는 곳은 서울 전철역 주변 유흥가다. 영등포에서 유명한 유흥가는 지금은 철거 중인 고가 옆 골목길에 있는데 어느 날 밤 두 팔이 온통 검은 문신으로 도배된 여성이 한쪽 팔에 형형색색의 문신을 한 남자와 함께 걷고 있는 모습을 비상등을 켜고 느리게 움직이는 택시 안에서 보고 있자니 영화의 한 장면처럼 기이하게 인상적이었다.
택시를 하다 보면 저절로 알게 되는 음성적인 직업에 대한 몇 가지 사실들이 있다. 예를 들어 저녁 늦은 시간 오피스텔에서 오피스텔로 이동하는 여성인데 택시 콜을 불러 주고 요금까지 자동결제를 대신해 준 사람이 따로 있다면 성매매 여성일 수 있다. 서울 논현동이나 역삼동 인근 밀집된 빌라촌에서 저녁에 화려한 복장으로 진한 향수냄새를 풍기는 여성들의 목적지는 보통은 룸살롱이거나 유흥주점이다.
강남 일대 크고 작은 주점들이 즐비한 거리에서 문신을 한 젊은 남자가 클러치백을 들고 있다면 역시나 룸살롱이나 유흥주점 종사자일 확률이 높다. 이 모든 걸 어떻게 아느냐면 가는 도중에 듣게 되는 그들의 통화 내용이나 대화의 맥락이 그걸 말해주기 때문이다.
요즘 젊은 세대들에게 문신 혹은 타투가 주는 문화적 의미를 나는 자세히 알지 못하지만 이십대 후반 아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자기는 할 생각도 없고 하지도 않겠지만 그렇다고 남들이 하는 것을 평가하고 싶지 않은 그런 느낌이다.
하지만 과거로부터 문신에 대한 우리 세대의 인식은 대체로는 부정적이었고 예술과는 거리가 멀었으며 어쩌면 하류인생의 상흔 같은 거였다. 그런 내가 택시 운전을 하면서 보고 만나는 문신은 타투라는 예술의 경지로 탈바꿈하는 요즘 시대정신과 무관하게 여전히 비관적이고 부정적이다.
하나의 상징적인 사건이 있었다. 서울에서 분당으로 장거리 손님을 내려주고 빈 차로 오려는데 역근처 유흥가에서 콜이 왔다. 반가운 마음으로 달려갔는데 손님이 보이지 않아 전화를 했다. 그는 마지막 한잔만 하고 금방 가겠다고 했다. 마지막 한 잔 이라는 말이 꺼림칙했지만 3분은 의무적으로 내가 기다려야 할 시간이었다.
하지만 3분이 다 지날 때까지 그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전화를 걸었다. 진짜 정말로 곧 끝나니까 조금만 더 기다려달라고 했다. 약간 불량기 섞인 어투가 심상치 않았지만 조금 더 기다려주기로 했다. 5분이 지나고 있는데도 그는 나타나지 않았다.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었다. 자기를 기다려야 하는 것처럼 말하는 어투에 사실 자존심도 좀 상해 있었다. 서울을 향해 차를 출발시켰다. 10미터쯤 유흥가 골목을 천천히 벗어나 큰길로 나가는 신호등에 서 있었다. 곧 신호가 들어와 좌회전을 하는데 누군가 급하게 뛰어와 주행 중인 차 문을 열려 했다. 택시 차문 손잡이는 내가 버튼을 눌러야 외부로 노출되는 방식이라 그의 노력은 헛된 것이었다.
위험한 행동이었다. 차가 신호에 맞춰 가속을 하는 상황이었다. 그는 뒤로 멀어져 갔는데 얼핏 보니 조금 전 멀쩡하게 기다리는 택시 옆에서 일행들과 큰 소리로 얘기 중이던 청년이었다. 5분을 넘게 기다리는 택시에게 양해 한마디 없이 태연하게 대화를 하던 그의 양 팔을 뒤덮은 검은 문신이 선명했었다.
그걸 기억해 내곤 '후유~' 라는 안도의 한숨이 절로 새어 나왔다. 빈 차로 서울로 돌아가야 했지만 허전함이나 아쉬움 따위는 전혀 없었다. 그것을 문신이라 부르든 조금 더 고상하게 타투라고 명명하든 상관없이 몸에 영원히 새겨지는 그것에 대한 부정적 편견이 더욱 굳세어지는 순간이었다.
내 생각이 '편견'임을 인정하게 되는 날이 오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