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같은 원탁에 자리했던 남과 북의 문인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오른쪽 끝이 필자.
같은 원탁에 자리했던 남과 북의 문인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오른쪽 끝이 필자. ⓒ 정용국
함께 자리한 북의 시인 리철식 선생과 조정흡 선생과도 술잔이 몇 순배 오가자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사실은 서로가 상대를 만날 때 피해야 할 주의사항이나 금지사항을 교육받고 나온 것은 서로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우리도 떠나기 전 정치적인 문제는 꺼내지도 받지도 말라는 말을 들었고 특히 김 부자에 대해서는 각별히 언급을 자제해 줄 것을 여러 차례나 권고 받았으니까 말이다.

나는 내 술버릇대로 룡성맥주에 평양소주를 조금씩 타서 마셨는데 긴장을 많이 한 탓인지 취기는 쉽게 오르지 않았다. 떠나기 전 하도 많은 사람들이 북에 가서 술 마실 땐 조심하란 부탁을 해서 그런 면도 있었을 것이다.

더러 남과 북의 공동사업을 추진하다가도 술자리에서 일어난 사소한 실수로 말미암아 그르친 사례가 있었다고 들었기 때문에 긴장감을 늦출 수 없었다. 다들 술을 자제했다고 본다. 나중에 몇 번 우리들끼리 고려호텔에서 가진 조별 회식에서는 대취한 것을 보았기 때문에 추측하는 것이다.

북의 작가들은 지역별로 조직된 창작가 모임에 배속되어 일정량의 작품을 쓰면 국가로부터 대가를 받는 모양이었다. 그래서 남쪽의 작가들이 우스갯소리로 우리도 글 쓰면서 월급 좀 받아 보았으면 좋겠다 하니 서로 웃었다. 그러자 마주앉았던 조 선생이 물었다.

"그럼 남쪽 작가들은 무얼 먹고 삽네까?"
"우리는 각자가 교사 노릇을 하든 출판사에서 월급쟁이로 일하든 먹고 살기 위한 생업을 따로 갖고 있는 편입니다."

우리 일행이 대답했더니 그들은 고개를 갸웃거리며 잘 이해하지 못한 듯했다. 그러나 누구도 자본주의와 사유재산에 대해 설명하고 그 장점을 설득하려 하지 않았다. 그만큼 우리는 서로의 체재에 대해 인정하려 애썼고 그들을 그대로 보아 주려고 노력했던 것이다.

화려한 한복으로 멋을 낸 북측 가수들의 공연.
화려한 한복으로 멋을 낸 북측 가수들의 공연. ⓒ 정용국
식사가 끝날 무렵 인민문화궁전에 배속된 예술단의 공연이 있었다. 화려한 한복을 입은 여가수들은 배우만큼 인물이 출중했다. 우리가 텔레비전을 통해 보고 들은 예의 그 억양으로 높고 고운 음을 소화해 내는 창법은 신기했다. 먼저 우리 귀에 익은 '반갑습니다'를 공연했다. 이 노래는 북이 재일 조총련 가족들의 북한 방문을 기념해서 지은 노래인데 가사에도 한 민족으로서의 반가움이 절절하게 표현되어 있다.

남자 가수들은 세련된 양복을 입고 있었는데 북에서는 이상하게 남자가 한복을 입은 것은 보지 못했다. 남측에서는 사회자가 남녀일 경우 둘 다 한복으로 통일하는 경우가 많은데 많은 여성들이 길에서도 한복을 입고 다니는 것에 비해 남자가 한복을 안 입는 것은 이상했다. 아마 많은 남성들이 군에서 일하고 그들의 편의를 위해서 그런 것은 아닐까 하고 짐작하기만 했는데 그래도 정답은 잘 나오지 않은 것 같았다.

작가대회의 성격을 고려하여 우리도 잘 아는 민요를 불렀고 북의 노래 중에서도 주체사상이나 북의 체제에 관한 작품들을 피해서 민족이나 통일에 관해 서로가 동감할 수 있는 부분에서 공연은 진행되었다. 연습량이 많은 듯 어느 가수 어느 연주자 하나도 아주 세련되고 능란하며 발랄한 동작과 목소리를 보여 주었다.

연회가 거의 끝날 무렵, 우리 원탁에 같이 자리했던 남과 북의 문인들은 서로 친해져 손을 잡고 60년만에 만난 감회와 자주통일에의 열의로 금방 뜨거워졌다. 어깨동무도 해보고 새로운 이름을 달아 건배도 하고 사진도 어울려 찍었다.

그렇다, 어디 사람 사는 곳에 팍팍함만이 있으랴 주의와 사상의 빡빡함 속에도 언제나 감성의 물꼬가 흐르고 있고 사람의 본연으로 돌아가 이야기 하는데 그깟 사상은 무엇이란 말인가. 연회가 다 끝나고 나는 리철식 시인과 통로를 천천히 걸어 나오면서 말했다.

"자주적 열정으로 서로 통일을 향해 열심히 힘써야 되지 않겠습니까?"
"맞는 말입네다. 누가 뭐라 해도 우리는 자주적으로 통일해야 합네다!"

리 시인은 '자주적'이란 말에 공감했던지 내 손을 덥석 잡고 조금 세게 흔들어 화답했다.

오늘 본회의 일정이 늦어짐에 따라 연회도 자정이 되어서야 끝났다. 늦게 한 식사가 부담은 되었지만 내일 일정을 소화하려면 잠을 자 두어야 했다. 실로 평양에 와 있다는 긴장감과 호기심등이 무사히 마친 본대회와 연회장에서의 술과 열의로 이완되어 피로감이 심하게 몰려왔다.

집에 전화를 할 수 없다는 사실에 나는 답답했고 이것이 우리가 처한 숨막히는 현실이라는 생각에 미치자 그 답답함은 또 나의 심사를 꼬이게 만들었다. 이 지척인 거리를 오갈 수 없게 한 그 힘은 아직도 생생하게 살아남아 우리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음에 나는 짧은 여름밤을 오래도록 뒤척여야 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지난 7월20일 부터 25일까지 평양에서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작가대회'를 참가하고 쓴 글입니다. 정용국 기자는 <내 마음속 게릴라>를 쓴 시인이며, 민족문학작가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인. 한국작가회의, 한국시조시인협회 사무총장. 한국문학평화포럼 사무차장.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