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곳곳에는 이처럼 버려진 폐쓰레기로 가득하다.오마이뉴스 공희정
지난 6월 30일 오후 5시경.
그날 오후 1시 연안부두에서 출발한 실버스타호가 연평도 당섬 선착장에 도착했다. 이 여객선에는 각 언론사에서 파견한 약 50명의 기자가 타고 있었다.
사건 발생 하루가 지나서야 기자들이 현지에 도착한 데는 이유가 있었다. 연평도에 들어가는 배는 월, 수, 금, 일요일에만 있다. 공교롭게도 서해교전이 발발한 6월 29일은 토요일이었다.
연평도의 총 면적은 대연평도와 소연평도까지 합해도 약 7㎢. 여의도(8.5㎢)보다 조금 작은 섬이다. 그나마 3분의 2는 군사지역으로 민간인의 출입이 전면 통제된다. 그후 들어온 기자까지 포함할 경우 기자 수는 연인원 100여 명에 육박한다. 그 많은 기자가 일주일 동안 이 좁은 섬을 휩쓸고 다닌 셈인데, '기자 반 주민 반'이라는 우스개소리는 바로 여기서 나온 것이다.
| 교전 당시 현장목격 어민의 증언 / 김정훈 기자 |
'기자 반 주민 반'이라는 말은 연평도의 역사와도 무관하지 않다. 연평도가 해방 직전 조기 황금 파시로 황해 어업의 메카였던 당시 연평도 앞바다는 '물 반 조기 반'이었다고 한다. '기자 반 주민 반'이라는 말은 바로 거기서 연유한 것이다.
한편 6월 30일 저녁 숙소를 정한 기자들은 곧바로 밖으로 쏟아져나와 주민들과 접촉하는 등 본격적인 취재에 돌입했다.
그런데 '맨 땅에 헤딩하기' 식으로 무작위적으로 사람들을 만날 수밖에 없었던 다른 언론사 기자들과 달리 누구를 만나 어떤 이야기를 들을 것인지를 데스크로부터 미리 통보받고 온 언론사 기자들도 있었다. 물론 그 언론사는 MBC였다.
현지르포 기사에서 자세히 밝혔듯이, 거기에는 사연이 있었다.
그보다 꼭 하루 전인 6월 29일 오후 5시경. 서해교전 당시 근방에서 조업을 마치고 돌아온 어민들의 증언을 듣는 한편 당섬 선착장에 실려온 전사자의 시신과 부상병을 지켜본 연평도 주민 신남석씨(연평면 재향군인회장)가 MBC 보도국에 전화를 걸어 다음과 같은 요지의 제보를 한 것이다.
"서해교전이 발발하던 당시 현장에서는 어선들이 '월선조업'을 하고 있었다. 우리 해군 경비정은 그 어선들을 통제하던 중 북한 경비정의 공격을 받은 것이다. 이러한 월선조업 행위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며 갈수록 그 정도가 심해지고 있다. 우리 어민들이 서해교전 발발에 일말의 책임이 있다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전화를 했다."
신남석씨는 전화를 받은 사람이 최아무개 차장이라고 기억하고 있었다. '최아무개 차장'은 최문순 취재부 차장. 보도국에 복귀하기 전까지 언론노조위원장을 맡았던 인물이다. 그는 그 전화가 걸려온 직후에도 연평도 어민이라고 신분을 밝힌 사람 몇 명으로부터 비슷한 내용의 제보 전화를 더 받았다고 한다.
물론 신남석씨는 MBC에 전화를 하기 직전에 KBS 보도국에 먼저 전화를 걸었다. 그러나 KBS는 그의 제보를 묵살했다.
국방부 최초 발표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을 제보 받은 MBC는 연평도 현지로 달려가는 기자들에게 이 사실을 주지시켰다. 제보자들을 직접 만나 그들이 연평도 주민인지 확인하는 한편 제보 내용이 사실과 부합하는지 취재하도록 지시한 것이다.
그리고 6월 30일 저녁과 7월 1일 이틀 동안에 걸쳐 현지에서 제보자들을 만난 MBC 기자들은 취재 결과 제보 내용이 사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그러한 증언은 제보자가 아닌 다른 주민들에게서도 쉽게 들을 수 있었다. 연평도 현지에선 '월선조업'이 그렇게 새삼스런 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실제로 <오마이뉴스> 특별취재팀이 현지에서 만난 주민들과 기자들의 증언을 종합해 보면, 6월 30일과 7월 1일까지만 해도 대다수의 주민들은 "문제의 핵심은 꽃게"라고 기자들에게 증언한 것으로 확인됐다.
MBC가 다음과 같은 제목의 뉴스를 7월 1일 밤부터 보도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앞에서 설명한 배경이 전제돼 있었던 것이다.
●<어민들 반성 '꽃게 때문에'> <어선 통제 안됐다> <국방부 발표 목격담과 다르다>(이상 7월 1일) <어민들 사전 담합> <조업 중 총격전> <해군도 손 못썼다> <꽃게 어장 노다지>(이상 7월 2일) <조업구역 이탈> <교전 직전 급증> <가구 당 빚 수 억원>(이상 7월 3일).
물론 MBC는 그러한 뉴스를 보도하는 한편 북한의 선제공격을 비판하는 다음과 같은 기사들을 내보내는 것도 잊지 않았다. 설사 '월선조업' 사실이 있었다 하더라도 북한이 선제공격을 한 것은 잘못됐다는 주장의 기사였다.
●<서해교전 '생생하게 증언'> <서해 5도는 한반도 화약고> <연평도 내일 조업재개>(이상 7월 1일) <재도발하면 응징> <즉각 경고사격> <대북특사 재검토> <정치권 진상조사>(이상 7월 2일) <계획적 도발> <재발 땐 강력 응징>(7월 3일)
그러나 MBC의 '월선조업' 보도는 그 다음날부터 연평도 현지를 발칵 뒤집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