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보다 아름다운 '꽃담'에 취해보세요

창덕궁 낙선재 개방을 맞아 떠난 꽃담 여행

등록 2006.07.08 10:13수정 2006.07.11 12:25
0
원고료로 응원
지붕과 굴뚝을 함께 보아야 제멋이 나는 낙선재 꽃담
지붕과 굴뚝을 함께 보아야 제멋이 나는 낙선재 꽃담김정봉
꽃담은 순수 우리말로 아름다운 무늬나 그림을 넣어 장식한 담을 말한다. 문헌에는 회면벽(繪面壁), 회벽화장(繪壁華墻), 화문장(華汶墻), 영롱장(玲瓏墻)이라 기록되어 있고 한자어를 차용해서 화담(花墻), 화초담(花草墻), 화문담(花汶墻)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또 다른 우리말로 무늬담, 그림담 이라고도 한다.

화담과 화초담, 화문담이 꽃과 꽃나무, 꽃무늬만으로 장식하여 만든 담을 연상시키고, 그림담과 무늬담은 표현 기법을 한정하여 꽃담의 개념을 폭넓게 담아내지 못한다. 신랑 신부의 첫날밤을 아름다운 우리말로 꽃잠이라 하듯, 담 중에 무늬나 그림을 넣어 아름답게 장식한 우리의 담을 꽃담이라 부르는 편이 좋을 듯하다.


전국 어디에서나 꽃담을 볼 수 있다. 세련되고 화려하나 야하고 사치스럽지 않은 궁궐의 꽃담이 있고, 담장의 높이와 함께 담장 무늬로 집주인의 인품이 드러나는 사대부집의 꽃담이 있다. 깨진 기와조각을 토담에 박아 넣어 만든 질박한 시골 꽃담이 있으며 기와와 벽돌과 막돌만을 가지고 만들었어도 볼 때마다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절집의 꽃담이 있다.

꽃담의 백미로 경복궁 자경전과 교태전의 꽃담을 들지만 빛깔과 무늬 그리고 분위기가 낙선재의 꽃담과 다르다. 꽃으로 치자면 경복궁 꽃담은 장미와 같아서 화려하여 꽃담 일부로도 아름다움이 드러나는 반면에, 낙선재 꽃담은 안개꽃과 같아서 은은하며 꽃담끼리 혹은 지붕과 굴뚝이 한데 어울릴 때 더욱 아름답다.

꽃담 일부만 봐도 제 맛을 느낄 수 있는 경복궁 자경전 꽃담
꽃담 일부만 봐도 제 맛을 느낄 수 있는 경복궁 자경전 꽃담김정봉
낙선재는 서쪽에서부터 동쪽으로 낙선재, 석복헌, 수강재가 배치되어 있고, 전면과 측면에 행각이 둘러쳐 하나의 일곽을 이루고 있는데 이 건물을 통틀어 낙선재라 한다. 한때 고종의 편전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순종이 나라를 빼앗기고 머물기도 하였지만 본래 국상을 당한 왕후와 후궁들의 거처로 지어져 여성들을 위한 공간이었다. 상중(喪中)의 왕후들이 거처하는 곳이라 단청도 하지 않았다.

여성들을 위한 공간이라 건물의 장식과 후원의 배치가 섬세하다. 낙선재 서쪽에 돌출된 누마루에 있는 둥근 만월창과 석복헌 동쪽과 뒷면의 쪽마루, 쪽마루 난간의 호리병 모양의 조각품은 저절로 눈길이 간다.

낙선재 누마루의 만월창과 예쁜 굴뚝
낙선재 누마루의 만월창과 예쁜 굴뚝김정봉
낙선재 뒤뜰은 후원의 영역이다. 수강재 뒤뜰 동산에는 동쪽에서부터 취운정, 한정당, 상량정이 서있다.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화계를 쌓고, 담장을 아름답게 둘러서 아늑하게 하였으며 적당한 크기의 괴석과 굴뚝을 배치하여 건물과 담장과 굴뚝이 서로서로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낙선재는 지금은 창덕궁에 속해 있지만 본래 창경궁 영역에 포함되어 있었다. 동산에 오르면 창경궁의 모습이 내려다보이고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서있는 낙선재, 석복헌, 수강재의 지붕이 한눈에 보인다. 멀리 보이는 고층 빌딩이 아니라면 어디 한적한 곳에 세워진 높은 정자에 오른 기분이 든다.

낙선재 꽃담 여행은 후원으로 넘어가는 언덕길이 시작하는 곳에서 멀찌감치 보는 것부터 시작한다. 승화루가 소나무 사이로 고개를 내밀고 있고, 오른쪽 옆으로 육각 지붕을 멋있게 이고 있는 상량정이 있다. 꽃담과 어울려 있는 상량정 정경이 창덕궁의 제일경이라 할만큼 예쁘고 아름답다.


상량정과 꽃담
상량정과 꽃담김정봉
꽃담은 낙선재 행각을 두르고 언덕을 쉬엄쉬엄 타고 올라 상량정 동산에서 멎는다. 지붕을 뚫고 솟아 있는 몇 개의 굴뚝은 꽃담과 썩 잘 어울린다. 바깥 담의 꽃담이라 품위가 있으면서 절도 있게 보이기 위해 밑 부분은 사고석을 고르게 쌓고, 그 위에 다른 무늬 없이 석쇠무늬(귀갑무늬)로 장식했다.

절도와 품위가 있는 꽃담
절도와 품위가 있는 꽃담김정봉
발걸음을 옮기면 장락문(長樂門)이라는 편액을 달고 있는 솟을대문이 보이는데 솟을대문 양옆 행랑채의 담 역시 꽃담으로 쌓았다. 밑 부분은 사고석으로 그 위에는 전돌로 쌓았는데 전돌의 두께를 위아래로 달리하여 변화를 주었다. 같은 두께의 전돌을 사용해도 위로 갈수록 가늘게 보이는데 윗 부분의 전돌은 가는 것을 사용해 체감률이 더하도록 하였다.

꽃담은 건물의 벽을 이루는 벽체와 담장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낙선재 누마루 밑의 벽체는 눈여겨볼 만하다. 직선과 점선의 무늬도 아니고 육각형이 연이어 있는 석쇠무늬도 아니다. 직선으로 구획하여 사각형, 마름모꼴 등의 무늬를 넣어 기하학적 추상화를 보는 듯 현대적 감각이 돋보인다.

꽃담은 문과 어울릴 때 멋이 더하다. 건물과 건물 사이 혹은 후원으로 통하는 샛담에는 일각문이라고 하는 조그마한 문이 딸려 있다. 낙선재에서 석복헌으로, 석복헌에서 수강재로 넘어가는 곳에도 있고 후원 샛담에도 있다.

이 중에 여성들의 전용 통로였을 법한 좁고 후미진 공간에 있는 석복헌 일각문은 한 쪽 담에 포도무늬와 매화나무를 장식해 놓아 눈길을 끈다. 매화는 지조와 절개를, 포도는 다산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인들이 거주하는 건물 뒤쪽에 주로 그려 넣었는데 경복궁 자경전 담장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포도나무는 세 송이의 포도를 매달고 있는데 포도송이를 셀 수 있을 정도로 사실적이어서 마치 그림을 보는 것 같다.

포도무늬로 장식된 작은 꽃담
포도무늬로 장식된 작은 꽃담김정봉
한정당과 상량정을 넘나드는 일각문처럼 샛담의 양쪽 무늬를 다르게 하여 변화를 주기도 하였다. 왼쪽은 사고석을 높게 쌓고 그 위에 전돌로 점선무늬를 놓았고 오른쪽엔 담 높이의 반은 사고석으로 쌓고 그 위의 반은 다시 세로로 반을 나누어 왼쪽엔 석쇠무늬를, 오른쪽에는 점선무늬를 표현하여 단조로움을 피했다.

일각문을 가운데 두고 양쪽 무늬를 달리하여 변화를 준 꽃담
일각문을 가운데 두고 양쪽 무늬를 달리하여 변화를 준 꽃담김정봉
꽃담과 문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곳이 상량정에서 승화루로 통하는 만월문이다. 승화루 쪽 담장 무늬가 더욱 화려하여 볼만하나 만월문이 굳게 닫혀 상량정 쪽에서만 볼 수 있다. 문지방은 화강석으로 쌓고 원은 전돌로 둥글게 쌓았다. 둥그런 문 옆으로 지형의 높낮이에 맞춰 2층의 장대석을 쌓고 그 위에 3층의 사고석을 쌓은 뒤 전돌로 점선무늬를 표현하여 전체적으로 세련되고 깔끔한 멋이 난다.

만월문과 꽃담
만월문과 꽃담김정봉
낙선재 꽃담의 하이라이트는 상량정이 있는 동산과 낙선재 후원을 구분하는 긴 꽃담이다. 이 담이 담고 있는 표정에는 독특한 아름다움이 스며 있다. 직선과 곡선이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무늬가 끝없이 이어져 끝도 시작도 없는 무시무종(無始無終)의 의미를 담고 있다.

무늬가 끝없이 이어지는 무시무종(無始無終)의 꽃담
무늬가 끝없이 이어지는 무시무종(無始無終)의 꽃담김정봉
꽃담은 화계와 굴뚝과 어울려 더욱 운치를 낸다. 낙선재 후원에는 동산의 지세에 따라 화강암을 곱게 다듬어 몇 단의 화계를 쌓고 화계 위에 굴뚝을 세워 놓았다. 우리는 구들이라는 독특한 난방문화를 가지고 있어 한옥에 굴뚝이 없을래야 없을 수 없는 구조인데, 굴뚝을 보기 싫다고 하여 감추려 하지 않고 오히려 드러내 놓아 굴뚝을 하나의 장식물로 여겼다.

굴뚝을 만들더라도 주위 환경, 예를 들어 꽃담의 빛깔과 그 무늬를 고려하여 만든다. 굴뚝은 잘 알려진 대로 경복궁의 아미산의 굴뚝과 자경전의 십장생 굴뚝을 최고라 치는데 그 색깔은 모두 붉은 황토색을 띠고 있어 화려하게 보인다. 이는 꽃담의 전체적인 색깔과 크게 동떨어지지 않는다.

낙선재의 굴뚝은 꽃담과 같이 전체적으로 잿빛을 띠고 있는데 빛깔과 무늬가 조화를 이룬다. 경복궁의 꽃담과 굴뚝처럼 붉은 색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이유가 낙선재가 단청을 하지 않은 이유와 같은지 모르겠다.

후원과 꽃담
후원과 꽃담김정봉
집주인이 누구인가에 따라 꽃담의 표정이 다르고 꽃담에 배어 있는 향기가 다르다. 궁궐의 꽃담이라도 경복궁의 꽃담과 낙선재의 꽃담이 다른 이유가 이 때문일 게다.

꽃담에는 표정이 있고 집주인의 향기가 담겨 있다. 항상 좋은 향기를 뿜는 꽃은 쉽게 시들고 그 향기가 오래가지 않지만 꽃담은 사시사철 한 자리에 있으면서 눈이 오면 눈으로 단장을 하고 비가 오면 향과 빛깔의 농도를 짙게 하여 다른 향기를 뿜는다. 게다가 꽃담에는 집주인의 체취가 짙게 배어 있어 그 향기가 쉽게 달아나지 않는다. 꽃담은 꽃처럼 아름답게 꾸민 담이지만 꽃보다 아름답다.

덧붙이는 글 | 창덕궁 낙선재는 6월 16일부터 특별관람으로 개방하고 있다

덧붙이는 글 창덕궁 낙선재는 6월 16일부터 특별관람으로 개방하고 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美不自美 因人而彰(미불자미 인인이창), 아름다움은 절로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 인하여 드러난다. 무정한 산수, 사람을 만나 정을 품는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행담도휴게소 입구, 이곳에 감춰진 놀라운 역사 행담도휴게소 입구, 이곳에 감춰진 놀라운 역사
  2. 2 성욕 드러내면 "걸레"... 김고은이 보여준 여자들의 현실 성욕 드러내면 "걸레"... 김고은이 보여준 여자들의 현실
  3. 3 '딸 바보' 들어봤어도 '아버지 바보'는 못 들어보셨죠? '딸 바보' 들어봤어도 '아버지 바보'는 못 들어보셨죠?
  4. 4 '도이치' 자료 금융위원장 답변에 천준호 "아이고..." '도이치' 자료 금융위원장 답변에 천준호 "아이고..."
  5. 5 울먹인 '소년이 온다' 주인공 어머니 "아들 죽음 헛되지 않았구나" 울먹인 '소년이 온다' 주인공 어머니 "아들 죽음 헛되지 않았구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